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 심사에 적용하는 ‘K-택소노미 전문 상담 AI’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K-택소노미는 2021년 환경부가 제정한 녹색분류체계로, 기업 활동이 온실가스 감축이나 자원순환 등 환경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녹색여신관리지침’을 통해 금융권이 녹색여신 심사에 이를 반영하도록 권고한 바 있다.
우리은행은 이번 AI 시스템을 독자 개발하면서 LLM(대규모 언어모델)과 최신형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을 적용했다. 고객이 핵심 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 활동이 K-택소노미 대상에 해당하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검색 기반의 하이브리드 AI 방식으로 높은 정확도를 구현해 여신 상담의 활용도를 높였다. 이를 통해 고객은 전문적인 녹색금융 상담을 제공받을 수 있고, 우리은행은 신속하고 효율적인 심사를 통해 ESG 금융 지원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AI 상담 시스템 도입으로 녹색금융 경쟁력을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AX 혁신을 통해 ESG 금융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우리은행과 놀유니버스, ‘NOL 머니’ 간편결제 이벤트는 어떤 혜택을 제공하나?
- 우리은행, 광복80주년 정기예금 어떤 혜택 담았나?
- 우리은행, 2025년 하반기 신입행원 채용으로 금융 전문가 양성에 나설까?
- 우리은행, 리그 오브 레전드 협업 틴틴카드로 청소년 공략할까?
- 우리은행, 2025 을지연습 참여로 어떤 위기대응 체계를 점검했나?
- 우리은행, 서울시와 협력한 ‘안심통장’으로 소상공인에 어떤 금융 지원을 하나?
- 우리은행, 생성형 AI 플랫폼 도입으로 어떤 디지털 혁신을 추진하나?
- 우리은행·산업부, Rising Leaders 300 6기 모집으로 어떤 기업 지원하나?
- 우리은행·네이버페이, ‘Npay 머니 우리 통장’ 금리 혜택은 무엇인가?
- 우리은행, 캐시노트 통해 소상공인 금융서비스 확대하나?
- ‘적자 전환’ 하이브 10일 하이브 3분기 실적 발표… 방시혁 도덕 리스크가 실적 쇼크의 결정적 변수였나
신대성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