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 “현지 채용이라 문제없어”
지난 주말 사이 미국에서 한국인 근로자 300명이 구금되는 불미스러운 사건이 발생하면서 산업계가 긴장한 가운데, 현지에 공장을 둔 우리 유통업계도 상황을 예의주시했다. 정부 차원의 조치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연일 커지고 있다.
지난 4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한 불법 체류자 단속으로 한국인 300여 명이 구금됐다. 직후 미국에 공장이 있거나 건설 중인 업체들에 비상이 걸렸다. 업계에서는 미국 출장을 보류하거나 급히 귀국하는 등 후속대응에 나서고 있다.
![미국 비자 거절 [사진=픽사베이]](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3883_420678_2451.jpg)
이번 상황의 원인으로는 관행과 미국 비자 발급 절차의 문제가 꼽힌다. 원청-하청 개념이 보편적인 국내 업체들은 미국에서도 같은 방식을 사용했다. 미국은 그간 묵과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노골적으로 이런 관행을 깨라고 여러 번 경고했다. 결국 지켜지지 않자, 트럼프 행정부가 구금 절차에 나섰다는 해석이다.
비자 관련해서도 말이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미국 입국 기준이 더 까다로워지면서 비자 발급에 시간이 더 걸리고 있다. 이에 우리 기업 근로자들이 미국에서 일하기 위해 단기간 발급이 가능한 회의 참석이나 계약 목적의 B1 비자 내지는 무비자인 전자여행허가(ESTA)를 소지한 채로 미국 출장에 나서는 실정이다.
우리 정부는 부랴부랴 8일 오전 미국 비자와 관련해 ‘대미 투자기업 간담회’를 열었다. 이를 토대로 비자와 관련해 미국과 협의에 나설 예정이다.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는 가운데 불똥이 유통업계로 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현재 국내 유통업계는 미국에 생산공장이 있거나 공장을 짓고 있는 업체, 그리고 미국 법인이 있는 업체 가 적잖아 영향이 우려된다.
특히 이번 현대차 사태처럼 현지 공장이 있는 업체의 피해를 우려하는 시선도 있다. 대표적으로 농심의 경우 미국에서 판매하는 제품 대부분을 미국 현지 공장에서 만든다.
![미국에서 홍보 중인 농심 신라면 [사진=농심]](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3883_420675_2222.jpg)
이에 농심은 문제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농심 관계자는 “최근 사례(현대차)에서 문제가 된 부분은 관광 비자”라며 “농심의 경우 임시 비자로 근무 중인 한국인은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적법한 절차를 통해 대부분 현지인을 채용해 문제 될 것이 없다”고 강조했다.
올해 초 미국에 법인을 세우고 본격적으로 영업 준비에 나선 CJ올리브영 역시 최근 사태와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CJ올리브영 관계자는 “직원들 대부분 현지 채용 예정이라 문제가 없다”고 전했다.
농심과 CJ올리브영의 경우처럼 앞으로 국내 기업이 미국에서 사업을 하려면 현지인 채용이 필요한 상황이 됐다. 다만 관행에 익숙한 국내 산업계가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이런 와중에 트럼프 대통령은 8일 “전문가를 불러들여 우리 국민을 훈련시키고, 그들(미국인)이 직접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한 번 더 국내 산업계를 압박했다.
- “손이 가요 손이 가”는 이제 옛말?...농심 새우깡, PB에 소매점 매출 1위 뺏겨
- CJ대한통운 등에 업은 커머스 업체, 이제 주 7일 배송 필수...쿠팡과 본격 경쟁
- 스타들 말과 행동에 기업들은 희비쌍곡선...농심·하이트진로 웃고 하이브는 울고
- 비비고 만두에 CJ올리브영까지...그녀의 손길을 거쳐 모두 승승장구...비결은?
- 꼭두새벽부터 날아든 트럼프발 관세부과 예고...미국산 수입맥주 영향은?
- 기온 올라가며 주목받는 비빔면 업계 기상도는?...농심 뜨고 팔도 떨어지고
- 당일 배송, 커머스 업계 트렌드 됐다...쿠팡·CJ올리브영·다이소 모두 승승장구
- 농심·오뚜기·삼양 줄줄이 실적공개...해외시장 공략, 선택 아닌 필수 되나
- 올리브영·다이소에 이어 CU도 건기식 참전 선언...블루오션인가, 레드오션인가
- GS25와 팝업스토어 차린 돈키호테, 한국 진출 가능성에 다이소·올리브영 긴장?
- 임영웅·아이유·박보영...톱스타만 광고하는 삼다수, 농심·광동제약 이어 누가 품을까
- 정의선 현대차 회장도 방미했는데...자동차 관세 15%에 업계 침울·한우 지키려 차 파냐 불만도
- “연예인이 벼슬?” 변우석·하츠투하츠·제로베이스원 공항 갑질 논란, 모델 기용한 기업들 진땀
- 美 불닭 인기 뜨거운데...삼양식품, 트럼프발 관세 직격탄에 “가격 인상 불가피”
- 삼양 불닭볶음면 신화 뒤에는 직원들 연장근무?...주 59시간 근무 논란에 결국
- 트럼프 앞에선 오월동주...삼성·애플, 반도체 100% 관세 부과 예고에 협업
- 농심, 신라면 툼바로 삼양 불닭볶음면 잡기는 버거웠나...2분기 해외실적 줄어
- 미국서 부진했던 농심, ‘케데헌’ 콜라보에 시선집중...제니 바나나킥 효과까지 재조명
- 농협광주본부, ‘농심천심운동 발대식’ 개최
- 서삼석, 농어촌 빈집 빠르게 늘고 있다... ‘ 농어촌빈집특별법 ’ 대표발의
- 한국에너지공단, 고효율 타이어 제도 홍보 및 보급활성화 위해 타이어뱅크와 손잡는다
- 케데헌 콜라보 효과 톡톡히 누린 농심, 정작 지주회사 농심홀딩스보다 저평가 이유는
- 신라호텔, 정부 요청에 불과 50일 전 식장 예약 취소 통보..."시진핑 머무나"
- 현대차그룹, 추석 앞두고 협력사 지원을 위해 어떤 조치를 취했나?
- 현대차·LG엔솔 美 조지아주 구금 사태, ESTA 비자 말고 다른 이유 있다?
- 고사 직전 면세점 업계, 중국인 무비자 입국 황금동아줄 잡나...유치 안간힘
- 수입콩 3배 비싼 국산콩 장려에 업계 불만...주요 제품 가격 인상 이어지나
- 콜라광 트럼프, APEC 기간에도 여전한 콜라 사랑...경주 오며 코카콜라 요구해 눈길
- 결제는 그래픽카드로? 각종 밈 쏟아진 삼성·현대차·엔비디아 깐부치킨 회동...가게 이름 잘 지었네
- 라면 한 봉지가 2200원?...오뚜기 신제품 제주똣똣라면 가격 두고 소비자 엇갈린 의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