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올리브영 낙찰 받고 포기해
만성적자에 시달리는 서울교통공사가 타개책으로 역명 병기 사업을 진행하는 가운데, 뜨거운 감자인 성수역 역명을 두고 논란이 재점화 조짐을 보였다.
지하철 역명 병기 사업은 지난 2009년 처음 도입됐다.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 1~8호선 중에서 역명에 더해 기업이나 기관, 학교 등을 함께 표기하는 사업이다. 지하철역마다 가격은 천차만별로, 강남역의 경우 한 치과에 11억1100만원에 판매됐다.
![강남역 역명 병기권을 따낸 하루플란트치과 [사진=하루플란트치과]](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5451_422764_5047.png)
공공기관이나 학교도 아닌 사기업에 돈을 받고 지하철 역명을 파는 사업에 거부감을 드러내는 이들도 적잖다. 이들은 상업화 논란, 역사성 훼손 등을 들며 여전히 반발한다.
만성적자에 시달리는 서울교통공사 입장에서는 비판을 감수하고 시행할 만한 사업이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최근 4년간 지하철 역명을 판매해 150억 원에 달하는 수익을 올렸다.
이런 가운데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 역명 판매를 두고 논란이 벌어졌다. 성수역이 자리한 서울 성동구 성수동은 온갖 팝업스토어 존이 자리할 만큼 몇 년 사이 급성장했다.
특히 무신사와 CJ올리브영의 경쟁이 뜨겁다. 두 업체 모두 성수동 상권 확보에 총력을 기울였다. 무신사의 경우 2023년 ‘무신사 스탠다드 성수’, 2024년 ‘무신사 스토어 성수 대림창고’, 내년 상반기에는 지하 1층~지상 4층 총 6612㎡ 규모의 초대형 편집숍 ‘무신사 메가스토어 성수’를 오픈한다.
![무신사 성수 대림창고 [사진=무신사]](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5451_422759_4532.jpg)
최근 패션으로 사업을 넓히고 있는 CJ올리브영 역시 지난해 11월 ‘올리브영N 성수’를 오픈했다. 총 5개 층, 면적 4628㎡으로 올리브영 매장 중에서 가장 크다.
![CJ올리브영N 성수 [사진=CJ올리브영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5451_422760_4650.jpg)
이들은 성수역 역명을 두고도 부딪혔다. 지난해 8월 CJ올리브영은 서울교통공사의 지하철 ‘역명 병기 판매사업’ 입찰에 참여해 무신사를 누르고 10억 원에 3년간 ‘성수(CJ올리브영)역’ 병기 자격을 얻었다. 이는 강남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금액이다.
기쁨도 잠시, CJ올리브영은 1억8000만원의 위약금을 부담하고 병기권을 반납했다. 구체적인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특정 기업에 역명 병기 자격을 판다는 여론이 부담됐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게다가 CJ올리브영이 서울역 인근으로 본사를 옮길 예정이라 성수역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는 분석도 나왔다.
CJ올리브영이 포기하면서 성수역 역명은 업체 없이 유지됐다. 그러나 최근 성수역 병기권에 무신사가 단독 입찰했고 서울교통공사에서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들려왔다.
무신사 관계자는 “성수역 역명 병기 사업에 입찰했다”며 “서울교통공사 측에서 현재 수의계약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고 밝혔다.
다만 여론이 변수라는 이야기도 나왔다. 지난해 CJ올리브영도 병기권을 얻었지만, 여론 악화에 자진 반납했다는 소문도 있었던 만큼 무신사 상황도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 코앞으로 다가온 KBO 개막에 유통업계 바쁘다...SPC삼립·신세계·무신사 등 협업 열기 후끈
- 가짜 거위털에 칼 빼든 무신사, 전수 조사결과 나왔다...8.5%나 위반해 충격
- 비비고 만두에 CJ올리브영까지...그녀의 손길을 거쳐 모두 승승장구...비결은?
- 무신사, IPO 초석 다지기?...중고 거래 시장도 본격적으로 뛰어들 준비
- ‘높은 나무에는 바람이 세다’...업계 1위 무신사, 1월 이어 또 전산오류로 소비자 원성
- 당일 배송, 커머스 업계 트렌드 됐다...쿠팡·CJ올리브영·다이소 모두 승승장구
- 또 불거진 크림 진품·가품 논란...계열사 플랫폼과 진실공방에 악명높은 페널티 제도도 조명
- 기억에 남는 건 도시어부·도시락 뿐...‘오징어게임’ 시즌3, 업체들 콜라보 패스가 혜안이었나
- 올리브영·다이소에 이어 CU도 건기식 참전 선언...블루오션인가, 레드오션인가
- GS25·무신사, CU·올리브영과 또 붙는다...의류 이어 화장품까지 협업 확대
- GS25와 팝업스토어 차린 돈키호테, 한국 진출 가능성에 다이소·올리브영 긴장?
- 무신사에 밀린 에이블리, 시대착오적 똥볼 이벤트에 소비자들 "어이가 없네?"
- 무신사·크림도 뛰어든 중고장터...14년 터줏대감 번개장터, 수수료 인상 고육책 결과는?
- ‘또 너냐’...패션 플랫폼 앙숙 크림·무신사, 중고 거래 시장서도 격전 예고
- 분명 한정판이었는데...무신사에 버젓이 올라온 칸예 굿즈, 무슨 일?
- CJ올리브영, 외국인 관광객 맞춤형 뷰티 특화 매장의 차별화 전략은?
- CJ올리브영, ‘스키니피케이션’ 트렌드 맞춘 케어헤바 이벤트 내용은?
- CJ올리브영, Z세대 겨냥한 체험형 샤워 케어 팝업 내용은?
- 가격표 붙은 옷 입고 일하는 비이커 직원, 또 터진 옷 강매 논란...의류업계 악습 근절 어렵나
- CJ올리브영, 내·외부 데이터 활용한 ‘트렌드 리포트’ 첫 발간 주요 내용은?
- 日 쓰리피에 中 요요소까지...글로벌 저가 잡화 잇단 한국 진출에 다이소는 자신감
- 국내 유명 의류 브랜드, 아동복에 19금 문구 넣었다가 논란...부모들 화들짝
- 이랜드 물류센터 대형화재에 뉴발란스·스파오 날벼락...무신사 블프서도 사라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