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야구 관람객 1000만명 넘어
프로야구의 계절이 예년보다 일찍 찾아오면서 유통업계도 분주하다. 올해 프로야구 시즌은 보통 4월 초 개막하던 과거와 달리 2주 정도 빠른 이달 22일 개막한다.
지난해 한국프로야구위원회(KBO)는 사상 첫 1000만명 관중 시대를 열었다. 올해도 못지않게 뜨거운 열기가 기대되면서 유통업계는 다양한 협업을 진행한다.
SPC삼립은 19일 ‘크보빵(KBO빵)’ 10종을 출시했다. 롯데자이언츠를 제외한 9개 구단 대표 선수와 마스코트가 포함된 띠부씰 189종, 국가대표 라인업으로 구성된 스페셜 띠부씰 26종으로 구성된다.
![삼립 크보빵 [사진=SPC삼립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3/371849_390385_4754.jpg)
삼립 관계자는 “KBO리그 시즌을 맞아 야구팬들이 즐길 수 있는 신제품을 출시했다”며 “앞으로 다양한 제품과 마케팅을 통해 스포츠와 연계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고 말했다.
야구 개막을 앞두고 신세계 계열사들도 바빠졌다.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는 백화점 1층에 ‘라커디움 파크’를 선보이고, SSG닷컴은 SSG랜더스(자사 프로야구단) 공식 브랜드 관에서 한정판 유니폼과 굿즈 등을 내놨다. 배달 플랫폼 요기요는 SSG랜더스와 F&B(식음료) 제휴를 맺고 SSG랜더스필드 내 식음료 매장에 ‘포장 서비스’를 단독 입점한다고 19일 밝혔다.
패션 플랫폼 무신사는 키움히어로즈와 지난달부터 유니폼, 점퍼, 모자 등 다양한 패션 아이템 협업을 체결했다. 키움의 상징색인 버건디(진홍)색을 활용해 인기를 끌고 있다. 무신사 관계자는 “개막전임에도 팬들의 관심이 높아서 트레이닝 저지나 스타디움 재킷 같은 제품은 재주문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키움 히어로즈와 무신사 협업 [사진=키움히어로즈]](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3/371849_390386_4922.jpg)
백종원 대표가 이끄는 더본코리아도 곧 개장할 한화이글스 새 구장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에 입점했다. 빽다방, 역전우동, 연돈볼카츠, 한신포차, 백스비어, 빽보이피자, 고투이, 새마을식당이 들어왔다.
다만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선 더본코리아의 입점을 두고 말이 나오고 있다. 최근 논란이 한창인 더본코리아 브랜드가 여럿 입점하는 것이 오히려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한 야구팬은 “요즘 백종원 대표를 향한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야구 경기보다 외적인 부분이 주목받을 것 같다”고 우려했다.
![한화이글스와 더본코리아 [사진=더본코리아]](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3/371849_390388_5139.jpg)
더본코리아는 지난 1월 빽햄 논란부터 농지법 위반, 액화석유가스(LPG) 안전관리법 위반, 원산지 위반 의혹이 잇따라 제기됐다. 결국 백종원 대표는 지난 13일 사과문을 발표했지만 이후에도 논란은 계속되는 상황이다.
- 승승장구하는 유니콘 무신사, 면접관 태도 논란 일파만파...무슨 일?
- 유니콘 기업 무신사 계속되는 상품 논란...수요 많은 만큼 문제 제기도 잇따라
- 백종원 새 예능 소년범 미화 논란 일파만파...더본코리아·프랜차이즈 영향은
- 가품 논란에 체면 구겼던 무신사, 어그부츠로 크림에 한방 날렸다
- 주류 시장 뛰어든 더본코리아, BTS 진과 손잡았다...일각에선 꼼수 비판도
- 또 터진 편의점 도시락 ‘창렬’ 논란...'흑백요리사' 협업한 CU 신제품에 소비자 불만
- 지마켓·알리, 타도 쿠팡 외치며 손 잡았다...2025년 합작법인 설립 예고
- 무신사 새벽 쿠폰 소동...200만원 주려다 1000억원 날릴 뻔했다
- 스팸에 도전장 낸 더본코리아 백종원의 빽햄, 품질·경쟁력·가격 둘러싸고 논란
- 홍콩반점 또 슬쩍 방문한 더본코리아 백종원 대표...짬뽕 영상 소비자 반응 싸늘
- 새로운 쇼핑 패러다임 제시한 신세계 스타필드, 어떻게 사람 모았나
- 무신사, 겨울 아우터 충전재 논란에 중대 결단 내렸는데...싸늘한 소비자 반응
- 백종원 빽햄 가격 해명에도 계속되는 소비자 쓴소리...더본코리아 주주들 비명
- 국민 호감이던 백종원, 빽햄 논란 여진 언제까지...국민신문고 신고까지
- 잇단 논란에 백종원 사과까지 했지만...LP가스통 논란 해명에 달린 댓글 보니
- 백종원 아픈 손가락 빽햄 판매중단?...추측 난무하자 더본코리아 “판매 재개” 예고
- 알리바바이어 BYD까지...中 기업과 잇따라 협업하는 신세계, 비판받는 이유는
- 유튜브 재개한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여전히 논란...빽햄 사태로 미운털
- “SNS는 인생의 낭비”...퍼거슨 명언, 우리나라 기업 총수들은 어떨까
- CJ제일제당·SPC삼립·농심 등 국내 유통기업, 해외 유명 스포츠 구단과 협업하는 이유는
- 레미제라블·빽햄·브라질 닭에 건축법 위반까지...바람 잘 날 없는 백종원
- 해태 홈런볼 이어 SPC삼립도 KBO와 띠부씰 콜라보 ...롯데 자이언츠만 쏙 빠진 이유는
- 스타마케팅은 양날의 검?...백종원·김수현 이슈에 광고 업계 촉각
- 백종원, 갖은 논란 끝에 두 달 만에 사과...냉랭한 소비자 반응·주가도 폭락
- CGV 희망퇴직에 롯데시네마·메가박스는 폐점...극장가 칼바람 유통업계까지 영향
- 또다시 고개 숙인 백종원, 소비자·성난 주주 달랠까...19일 2차 사과문 게재
- 크보빵 구하기 어려울 정도로 인기인데...띠부씰 관련 소비자 지적에 삼립 반응은
- 가짜 거위털에 칼 빼든 무신사, 전수 조사결과 나왔다...8.5%나 위반해 충격
- 점주와 소비자, 배달 관련 갈등 계속 늘어나는데...리뷰 정책은 옛날 그대로...
- 다시 돌아온 야구의 계절...덕분에 컴투스·티빙 관심도도 업업!
- 포켓몬 이어 야구선수까지...또다시 불어오는 띠부씰 열풍, 인기 비결은
- 치킨에 진심인 백종원, 노랑통닭까지?...더본코리아 “M&A 검토했으나 인수의사 없어”
- 이제는 성추문까지...바람 잘 날 없는 백종원 더본코리아, 술자리 면접 의혹 사실로
- 무신사, IPO 초석 다지기?...중고 거래 시장도 본격적으로 뛰어들 준비
- ‘높은 나무에는 바람이 세다’...업계 1위 무신사, 1월 이어 또 전산오류로 소비자 원성
- 백종원 3월 사과할 때 폭등한 더본코리아 주가, 쇄신안 발표 뒤엔 폭락...주주들 포기했나
- “가게가 안 팔려요”...빽다방 점주들 애타는 와중에 백종원 대표 예능 해외촬영 목격담
- 자이언츠 선수 띠부씰 담은 롯데판 크보빵 나온다...불참 방침 바꾼 속마음은?
- 또 불거진 크림 진품·가품 논란...계열사 플랫폼과 진실공방에 악명높은 페널티 제도도 조명
- 50억원 지원에 50% 할인...더본코리아 이미지 쇄신안, 소비자 반응은
- 이마트, 영업이익 240% 늘며 나홀로 독주체제 굳힐 기세...SSG닷컴 부진은 고민거리
- 신세계·현대·롯데 백화점 3사 1분기 모두 울었다...반등 가능할까
- 더본코리아 할인행사서 빠진 빽다방, 이달부터 가격 인상...소비자 반응은
- SPC삼립 빵공장서 50대 근로자 사망...벨트 윤활작업 중 사고
- 야구팬들 불매운동 영향 컸나...크보빵 흥행에 웃던 SPC삼립, 결국 생산 중단
- KBO에 손절 당한 SPC삼립...띠부씰 구하기 어려워진 야구팬들 “롯데가 만들어줘”
- SK 최태원은 고소 취하, 신세계 정용진은?...악성 루머 유포 네티즌 고소 선언...실제 처벌로 이어질까
- 일부 피자 가게 강제 팁 논란 일파만파...일부 소비자는 배민 책임론 거론
- GS25·무신사, CU·올리브영과 또 붙는다...의류 이어 화장품까지 협업 확대
- 뉴진스 광고효과, 지난해만 해도 꿀이었는데...신한·코카콜라·아이폰 등 광고 업계, 빠르게 손절
- 흑자인데 왜?...한화가 야심 차게 들여온 파이브가이즈, 2년 만에 매각 추진하는 이유
- 소년공 출신 대통령 질타에 산재 발생한 SPC·포스코이앤씨 개선 약속...근로자 사망한 KT는?
- 무신사에 밀린 에이블리, 시대착오적 똥볼 이벤트에 소비자들 "어이가 없네?"
- 스타벅스 때와는 다르네...SKT 파리바게뜨 50% 행사, 소비자 마음 달래나
- ‘또 너냐’...패션 플랫폼 앙숙 크림·무신사, 중고 거래 시장서도 격전 예고
- 유명 유튜버에 빵값 저격당한 SPC, MZ 세대 인기 치폴레 브랜드로 반전 모색...시선은 가격으로
- CJ올리브영은 비난 여론에 포기했는데 무신사는 어떨까...성수역 역명 병기권 입찰 시선집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