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로 국민 불안...ESS 사업 도마 위
정부의 에너지저장장치(ESS) 확대 정책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찬물을 얻어맞은 형국이 됐다. 이에 ESS 분야 진출에 적극적이던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배터리 업체의 대응과 이들이 받을 영향에 시선이 쏠렸다.
이달 26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정부 온라인 민원을 비롯해 우편 등 다수의 서비스가 중단됐다. 밤샘 진화 끝에 복구가 진행되면서 행정안전부는 29일 기준 핵심 서비스 다수를 재개했으나 국민 불안은 여전하다.
![무정전전원장치(UPS)의 구조도 [사진=인공지능(Gemini) 생성 이미지]](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7046_425144_3640.jpg)
발화 지점은 전산실 전원 설비 구역의 무정전전원장치(UPS)로 추정됐다. LG엔솔이 제작한 배터리에서 불이 시작됐는지, 또 관리 문제였는지, 배터리 자체 결함인지는 합동 감식으로 가려질 예정이다.
UPS는 상시 전력 변환을 통해 정전에도 서버 전원을 끊김 없이 이어준다. 멀티탭 같은 전원 연결이 아니라, 전력 품질을 유지하며 밀리초(㎳)~분 단위로 버텨 주는 보호 장치다.
한 한국전력공사 관계자는 “UPS 사용 시 배터리 열 폭주, 감지 및 차단 지연, 배터리 누액 등이 동시에 발생하면 연소가 매우 빨라진다. 주기적인 정비, 특히 핵심 부품인 배터리 정비가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태양광 에너지를 ESS에 적용시킨 예 [사진=인공지능(DALL-E 3) 생성 이미지]](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9/397046_425145_3936.png)
이번 화재로 정부의 ESS 확대 정책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변동성을 높이기 위해 ESS가 필요하다는 판단으로, 설치 목표와 지원 제도를 넓혀가고 있다.
ESS는 전력 저장 장치의 일종이다. 배터리, 전력변환장치(PCS), 배터리관리시스템(BMS), 감지·차단 설비를 한데 묶어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방전한다. 데이터센터·재생에너지 연계, 비상 전력 보강 같은 용도로 쓴다.
그러나 ESS에 들어가는 배터리도 UPS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리튬이온 배터리인 만큼 많은 국민의 불안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실제로 27일에도 강원 태백 ESS 공장 화재 등 여러 사례가 겹치며 안전 기준을 더 촘촘히 하라는 요구가 커졌다.
ESS 확대 정책을 함께한 일부 기업은 불안한 기색을 내비쳤다. 발주, 보험 조건이 강화될 수 있고, 추가 인증 요구가 납기, 원가에 바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일부는 배터리 셀 이원화, 배터리 교체 주기 단축 등을 검토 중이다.
이에 대해 한 국내 배터리 생산업체 관계자는 “SK온, 삼성SDI, LG엔솔 등 국내 대형 배터리 업체는 현재 ESS 사업 진출에 적극적이다”면서도 “해외도 ESS 화재 사고가 종종 발생하는데, 기업 차원의 제조 고도화와 함께 정부가 명확한 제도를 마련해야 국민적 불안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 [진단_신재생에너지 ③신성이엔지] 이지선 대표, 그린산업 지속 시험대에... “친환경이 독이 됐다” 신성이엔지, 적자 전환
- LG전자는 AI 데이터센터 냉각을 위해 어떤 하이브리드 솔루션을 제공하나?
- 美 관세·보조금·구금 트리플 악재 얻어맞은 우리 자동차 업계, 현대·기아 등 돌파구는
- 한전-LS ELECTRIC-LG전자, 국내 최초‘재생에너지 연계 DC Factory 구축’ 맞손
- LS일렉트릭·한전·LG전자 협력, 차세대 DC 배전망 구축 방향은?
- ‘대전 데이터센터’ 화재…광주시, 지대본 가동
- 유나이티드는 단자보호만 대한항공은 수량제한까지…보조배터리 반입규정 제각각인 까닭
- 리튬 안전성 논란에 나트륨 급부상…앞서가는 중국, 한발 늦은 LG엔솔·SK온·삼성SDI 잰걸음
- 제2차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 폭풍전야…재수성 노리는 삼성SDI, 반전 노리는 LG엔솔·SK온
- 美 알루미늄 공장 화재로 자동차 공장 줄줄이 가동 중단…현대차·SK온 등 국내 기업 온도차
- 삼성SDI, 테슬라 ESS 배터리 공급 논의…전기차 시장 둔화·탈중국 흐름 타고 도약할까
- 케이이엠텍, 삼성SDI 배터리 기술 유출 의혹 전면 부인...검찰·산업부 판단 엇갈려 진흙탕 공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