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몇 년 사이 대세로 자리매김

쿠팡이 로켓배송을 동력 삼아 택배업계 1위를 차지하면서 업계에서 새벽배송이 대세가 됐다. 이 가운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이 “심야노동 근절”을 거론하며 새벽배송을 금지하자고 제안하면서 업계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는 지난 22일 열린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오전 0시부터 5시까지 심야 배송을 금지하고, 오전 5시 출근과 오후 3시 출근 두 개조에 주간 배송만 맡기는 택배 기사 과로 개선 방안을 내놨다.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사진=더불어민주당 손명수 국회의원 블로그]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사진=더불어민주당 손명수 국회의원 블로그]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지난달 26일 심야·휴일 배송으로 인한 택배노동자 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범했다. 여기에는 민주당, 국토교통부, 민노총, 쿠팡, 컬리, CJ대한통운 등이 포함됐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이번 제안은 법적 강제성은 없지만, 사실상 당정이 참여한 셈이라 여기서 나온 정책이 그대로 반영될 가능성은 있다. 게다가 민노총이 여당의 주요 지지층인 만큼 팔이 안으로 굽을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택배업계는 난리가 났다. 이들은 시대에 뒤떨어지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한 택배업계 관계자는 “요즘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빠른 배송이 추세다”며 “게다가 소비자들도 만족하고 있고, 택배기사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 것으로 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대다수 소비자는 소식이 알려지자 강력히 반발했다. 한 시민은 “평일에 장을 볼 수 없는 직장인들이 새벽배송을 애용하는데 이를 막으면 어떡하냐”고 따졌다.

새벽배송 규제에 대한 소비자 반응 [사진=온라인커뮤니티]
새벽배송 규제에 대한 소비자 반응 [사진=온라인커뮤니티]

배송기사들 사이에서도 이견이 나왔다. 특히 새벽배송을 전문으로 뛰는 기사들이 일반 기사들보다 상대적으로 보수가 높고, 업계 특성상 건수에 따라 수당이 늘면서 새벽배송을 선호하는 기사들은 이번 규제안에 반발했다.

택배 업계도 부정적인 입장이다. 한 관계자는 “택배 기사는 자영업자나 다름없어 많이 배송하면 많이 버는 구조”라며 “새벽배송을 막으면 당연히 기사들의 반발도 심할 것이다”고 우려했다.

물론 아직 새벽배송 규제에 관해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다. 다만 업계, 노동자, 소비자들이 대체로 반대하는 만큼 의견 수렴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