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공기 연장에 공개적으로 반발
공사 기간을 84개월에서 106개월로 늘리고, 개항 목표를 2029년 말에서 2035년으로 미루는 새로운 입찰 방침 아래 가덕도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가 다시 출발선에 섰다. 연약지반과 해상 공사 난이도를 감안해 공사를 더 늘어뜨리기로 했지만, 애초 기본 설계를 맡았던 현대건설은 “재참여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굳힌 상태라 누가 이 장기 공사와 막대한 공사비를 떠안을지 관심이 쏠렸다.
![가덕도신공항 조감도 [사진=부산광역시]](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11/404130_435415_2046.jpg)
가덕도신공항은 가덕도 인근 해상을 매립해 남부권 관문 공항을 새로 짓는 사업이다. 특별법 제정 당시부터 2029년 말 개항을 목표로 했다. 국토교통부와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은 이 일정을 맞추기 위해 부지 조성 공사 기간을 84개월로 잡고 설계·시공 일괄입찰을 진행했다.
그러나 공사 난이도와 비용 부담 탓에 일반 경쟁 입찰은 여러 차례 유찰됐다. 이후 현대건설·대우건설·포스코이앤씨가 참여한 현대 컨소시엄이 수의계약 방식 우선협상대상자로 올라섰지만, 기본 설계 과정에서 공사 기간과 공사비를 두고 이견이 커지며 협상은 결렬됐다.
현대건설은 연약지반 안정화와 해상 매립, 방파제 공사 등을 이유로 84개월로는 안전과 품질을 담보하기 어렵다며 9년 안팎의 공기를 요구했다. 정부가 기존 원칙을 고수하자 현대 컨소시엄은 올해 우선협상 지위를 내려놓고 사업에서 손을 뗐다. 현대건설은 이후 재입찰에도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거듭 밝혀 이번 재입찰은 사실상 현대 없는 새 판 짜기에 가깝다.
새 입찰 방침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공사 기간 조정이다. 국토부와 공단은 부지 조성 공기를 106개월로 늘리고, 개항 시점을 2035년으로 조정했다. 설계 보완과 물가 상승을 반영해 부지 조성 관련 공사비도 10조원대 중반 수준으로 올리기로 했다.
정부는 연약지반 계측과 침하 관측에 충분한 시간과 여유를 두기 위한 결정이라는 입장이다. 업계에서는 현대건설이 요구했던 수준에 가까운 공기를 뒤늦게 받아들였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우건설은 지난 현대 컨소시엄에서 현대건설에 이어 가장 지분이 많았다. [인포그래픽: 천인규 기자]](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11/404130_435413_1941.png)
새롭게 입찰할 후보로는 기존 컨소시엄에 참여했던 대우건설과 포스코이앤씨를 비롯해 롯데건설, 한화건설, DL이앤씨 등이 거론됐다. 특히 대우건설은 거가대교, 부산항 등 해상·항만 공사 경험이 많아 가덕도 사업에서도 핵심 역할을 맡을 회사로 꼽혔다.
전문가들은 공사 기간을 106개월로 늘린 결정은 여러 해상 공항 시공 사례를 비춰봤을 때 합리적인 결정이라고 분석했다. 인척국제공항은 1992년 착공 후 2001년 개항까지 약 8년 4개월이 걸렸다. 일본 간사이국제공항과 홍콩 첵랍콕 공항도 인공섬 매립과 활주로, 터미널을 포함한 1단계 완공까지 대략 7년 안팎이 소요됐다.
해상 매립형 관문 공항이 대체로 7~8년 공기를 소모한 점을 감안하면, 106개월의 가덕도신공항 부지 조성 기간은 이들보다 다소 여유 있는 편이지만, 연약지반과 추가 공정까지 고려한 상한에 가깝다. 반대로 애초 계획이었던 84개월은 해외 사례와 비교해도 상당히 공격적인 계획이었다는 해석도 나왔다.
![현대건설의 CI [사진=현대건설]](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11/404130_435416_2223.png)
한편 부산시는 공기 연장에 공개적으로 반발했다. 부산시는 21일 “부산시는 정부가 수립하고 검증한 84개월의 공기로 신속한 입찰을 요구했다”며 “정부는 신속한 착공과 적기 개항을 바람을 외면한 채 공사 기간을 106개월로 결정했다. 부산시는 정부의 결정에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장기 공기와 막대한 공사비가 동시에 걸린 가덕도신공항은 기업 입장에선 수주에 성공하면 10조원대 실적을 확보할 기회이면서, 공사 지연과 비용 초과에 따른 손실 가능성도 큰 사업이다. 특히 정부의 공사비 산정 방식, 물가 변동·설계 변경에 대한 보전 기준, 책임 범위를 어떻게 나눌지에 대한 논의가 재입찰 과정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아직 시공사가 선정되지는 않았지만, 사업성과 리스크 관리가 참여를 결정짓는 핵심"이라며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정부와 시공사가 공사의 불확실성을 합리적으로 분담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약 조건과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