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점유율 80% 이상인 네스프레소 불참
지난해 11월 우정사업본부(우체국)가 도입한 캡슐커피 재활용 사업이 시행 100일이 넘은 가운데 성과가 미비한 수준으로 확인됐다. 이에 자발적 참여가 아니라 강제적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최근 몇 년 사이 원두 가격이 크게 올라 커피 가격 또한 가파르게 오르는 추세다. 이에 소비자들 사이에선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마실 수 있는 캡슐커피가 유행 중이다. 커피머신만 구매하면 가정이나 회사에서 쉽게 내려 마실 수 있고 캡슐 하나당 가격 또한 저렴한 편이라 인기가 뜨겁다.
소비자들의 지속된 관심의 결과 지난해 국내 캡슐커피 시장 규모는 4000억원이 넘었다. 80% 이상을 네스프레소가 점유했고 동서식품 카누나 일리가 뒤따르는 상황이다.
캡슐커피는 간편하고 저렴하다는 장점도 있지만 확실한 단점이 있다. 바로 캡슐의 처리 문제다. 알루미늄 캡슐 안에 커피 찌꺼기가 담겨 재활용이 어렵다. 이에 제조사가 제공하는 전용 회수 봉투에 담아 직접 업체에 반납하거나 일부 주택 단지의 경우 수거함이 따로 있는 등 번거롭다.
캡슐커피를 일반쓰레기로 버리는 소비자가 늘자, 제조업체와 환경부는 고심에 빠졌다. 현행법상 용량이 적은 캡슐커피는 재활용 의무대상 포장재 중 분리배출 표시 예외 품목이어서 마땅한 법적 규제가 없다.
결국 환경부는 우정사업본부와 협약을 맺고 지난해 11월 우체국 캡슐커피 회수 사업에 나섰다. 이 사업은 소비자가 사용한 캡슐커피를 우체통에 넣으면 집배원이 재활용 업체로 옮겨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다만 캡슐커피 시장에 불과 2년 전 뛰어든 동서식품밖에 참여하지 않았다. 동서식품 관계자는 “우체국 사업 이전에도 원래 자체적으로 캡슐커피를 수거하고 있었다”며 “지난해 말 환경부와 우정사업본부와 협약을 맺고 사업에 참여했으며,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카누 바리스타 머신 [사진=동서식품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3/370591_388705_555.jpg)
시장 점유율 80% 넘는 네스프레소가 해당 사업에 불참하면서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실제 지난달 말까지 우체국 캡슐커피 회수 건수는 410건에 불과했다.
이러한 지적에 네스프레소 관계자는 "네스프레소는 자체적인 재활용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며 "소비자들이 캡슐커피를 더욱 편리하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우정사업본부, 환경부와의 협력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 3년 만에 반복된 스타벅스 트럭시위...익명 커뮤니티에 직원 폭로 올라와
- 커피업계 가격 인상 현실화...서민 음료 인스턴트 커피까지 들썩
- 40년 만에 바뀐 우체통, 네스프레소 캡슐커피 반송 가능..."불편할 듯" 우려도
- 커피 프랜차이즈 알바 테러글 논란..."알바 SNS까지 관리해야 하나" 프랜차이즈 점주들 한숨
- 국내서 고전하는 이디야커피, 동남아 시장은 먼저 찍었다
- 메가커피 손흥민·컴포즈 뷔·이디야 변우석...커피 업계 필수로 자리한 스타 마케팅, 잡음도 나와
- 파리바게뜨 이어 이디야커피까지...선의로 시작한 선결제 문화 또 잡음
- 맥심 아성에 이디야커피·네슬레·빽다방 등 줄줄이 도전장...불꽃 튀는 커피믹스 시장
- 스타벅스 톨사이즈·오뚜기 컵밥 오른다...새해 유통업계 줄인상에 서민들 한숨
- 커피 프렌차이즈 고성·행패 등 진상 손님 증가세..."마땅한 대책 없어"
- 알바 이어 점주도 막말...유명 저가커피 프렌차이즈 SNS 저격글 논란
- 일본 스타벅스 도심·공항 커피값 올린다...설마 강남·인천공항 스벅도?
- "저가커피 너마저" 1500원 아아 역사속으로...컴포즈커피도 가격 올렸다
- 구미 에이바우트커피 음료에 플라스틱조각 섞여...반복되는 혼입사고 소비자는 불안하다
- 디카페인 커피 인기인데...진짜 디카페인일까? 카페인 함량 기준 다르다는 지적 일어
- 캡슐 너마저...커피 업체 가격 줄인상에 네스프레소 캡슐까지 3~10.4% 올라
- 메가커피는 쓰고 스타벅스는 안 쓰고...4년째 이어지는 플라스틱 빨대 규제 논란
- 커피값 인상에 덩달아 오른 캡슐커피...값싼 노브랜드·다이소 캡슐커피 날개 다나
- ‘메컴빽’ 중에 ‘빽’ 빼고 다 올렸다...저가 커피 3 대장 줄줄이 인상 현실화...
- 빽다방 주춤한 사이 매머드커피 약진...‘메컴빽’ 저가 커피 3대장 지각 변동 오나
- 또 나온 바퀴벌레...저가 커피 1위 메가커피, 위생관리 왜 이 모양
- 동서식품 6개월 만에 또 가격 올려...맥심·카누 평균 8% 인상에 커피 마니아들 한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