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형 친환경 트럭 보조금은 사실상 수소에 '올인'

도로 위를 달리는 중·대형 전기트럭을 한국에서 보기는 힘들다. 국내 전기트럭은 사실상 현대자동차의 1t(톤)급 포터II 일렉트릭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중·대형 전기트럭이 정부 보조금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것이 원인으로 지목돼, 상용차 이용자들의 관심이 쏠렸다.

현대자동차의 전기트럭 마이티 일렉트릭 [사진=Hyundai Australia]
현대자동차의 전기트럭 마이티 일렉트릭 [사진=Hyundai Australia]

2025년 환경부 보급 지침과 주요 지방자치단체 공고에 따르면, 전기 화물차 지원은 1t급 소형 모델에 집중됐다. 물류 현장에서 실질적인 전환 수요가 높은 2~5t급 중형 전기트럭 보조금 항목은 거의 마련되지 않았다. 올해도 정부의 상용차 보조금 구조가 2t 이상 중형 전기트럭을 배제한 탓에, 현대차의 국내 라인업도 1t급 시장을 벗어나지 못했다.

과거 관련 예산 편성이 시도됐으나 국회 심의 과정에서 제외돼 올해까지 국내 중형 전기트럭의 공백은 이어졌다. 한편 정부의 정책 자원의 무게추는 중형 전기트럭 대신 '대형 수소트럭'으로 쏠렸다. 정부는 2025년 수소 충전소 예산을 증액하고 연내 64기 추가(누적 450기 목표)를 공언하는 등 인프라 확충에 나섰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하지만 일선 현장의 수소 인프라 부족이 발목을 잡았다. 2024년 말 기준 국내 운영 수소 충전소는 198곳에 불과하고, 잦은 고장과 낮은 수익성 문제가 지속됐다. 특히 중대형 트럭을 위한 고용량, 고압 충전소는 아직 극히 드물다. 

국내 시장이 소형 모델에 묶인 사이, 현대차는 해외에서 중대형 전기 상용차의 가능성을 증명했다. 2023년 호주에서 출시한 마이티 일렉트릭은 2025년형 개선 모델까지 발표됐다. 스위스에서는 엑시언트 수소전기(FCEV) 트럭이 누적 운행거리 1000만km를 돌파하며 실적을 쌓았다. 해외 시장은 중·대형 전기 트럭에 대한 보조금 지급, 도심 진입 규제 완화, 충전 인프라 확충이 맞물리며 이미 시장을 형성했다.

닝더스다이(CATL)의 CI [사진=宁德时代]
닝더스다이(CATL)의 CI [사진=宁德时代]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도 트럭 전동화에 베팅했다. 세계 1위 배터리 회사 중국 닝더스다이(CATL)는 2025년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상용차 및 트럭 전동화를 핵심 성장 동력으로 제시했다. 또한, 생산 가동률이 '풀 로드(Full load)'에 근접했다고 밝혔다. CATL 회장 쩡위췬(증육군)은 해당 행사에서 중국 트럭 시장이 2028년까지 50%까지 전동화되리라 전망했다.

결국, 국내 보조금 지형이 소형 전기트럭과 대형 수소 차량으로 양분된 사이, 중형 전기트럭이라는 거대한 시장은 사실상 방치된 셈이다. 업계는 현대차의 국내 판매 전략이 소형 전기트럭에 머무는 배경 역시 정책의 부재로 풀이했다. 

한 국내 완성차 업체 관계자는 "이미 중형 전기트럭 모델을 보유하고 있지만, 보조금 없이 비싼 가격을 감당할 소비자는 몇 없다"며 "국내는 중형 전기트럭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정책이 부족해 해외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