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스비어·스탠퍼드대 공동발표 ‘2025 세계 상위 2% 연구자’ 명단에 GIST 연구자 23명(전임교원 194명 대비 12%) 포함… 9명은 세계 상위 1% 연구자로 평가, 5년 연속 1% 연구자도 다수 배출

올해 8월 타계한 故 김경웅 교수, 5년 연속 ‘세계 상위 2% 연구자’에 포함… 세계적 토양·지하수 오염 정화 전문가로서 전기 없는 정수 시스템과 무동력 수처리 장치로 개발도상국 물 문제 해결에 기여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글로벌 학술정보 분석기업 엘스비어(Elsevier)와 미국 스탠퍼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가 공동 발표한 ‘2025 세계 상위 2% 연구자(Top 2% Scientists 2025)’ 명단에 GIST 소속 연구자 23명이 선정되었다고 5일 밝혔다. 이 가운데 세계 상위 1% 연구자로 평가된 최정상급 연구자는 9명에 달한다.

‘세계 상위 2% 연구자’는 엘스비어와 스탠퍼드대가 매년 전 세계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발표하는 영향력 평가 명단으로, 논문 수나 인용 횟수뿐 아니라 인용지수, 공동저자 기여도, 연구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함께 반영한 ‘h-인덱스’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학문적 영향력을 객관적으로 산정하는 글로벌 평가 지표로 꼽힌다.

GIST 캠퍼스 전경
GIST 캠퍼스 전경

GIST는 2025년 대학정보공시 기준 전임교원 194명 중 약 12%에 해당하는 23명이 이번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국내 주요 대학 중에서도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특히 세계 상위 1% 에 포함된 연구자는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임춘택·함병승 교수 ▴기계로봇공학과 안효성 교수 ▴생명과학과 김용철 교수 ▴환경·에너지공학과 김인수 교수 등 9명이며, 이 중 임춘택·함병승·안효성·김용철 교수 등은 5년 연속 1%에 선정되는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이어 왔다.

전기전자공학(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 분야에서 5년 연속 상위 1% 연구자로 선정된 임춘택 교수는 국제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 석학회원(Fellow)으로서 무선전력 분야 세계 최고 석학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올해 10월에는 IEEE로부터 무선전력 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상인 ‘밀란 요바노비치상(Milan M. Jovanović Award)’을 수상했으며, 이는 국내 연구자 최초이자 세계 7번째 수상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함병승 교수는 광학(Optics) 분야에서 5년 연속 상위 1% 연구자로 선정되었다. 함 교수는 양자정보·센싱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로, ‘한미 기술번영 협약’에 포함된 국가전략기술인 양자 분야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지난해 고전광학과 호환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초해상 양자센싱’ 이론을 제시하고, 올해 3월 기존 분광기에 적용 가능한 ‘양자분광기’ 구현 방법을 발표하는 등 미래지향적이면서도 실용적인 연구로 국제적 주목을 받고 있다.

산업공학 및 자동화(Industrial Engineering & Automation) 분야에서 5년 연속 상위 1% 연구자로 선정된 안효성 교수는 제어공학을 기반으로 무인비행체 자율운용, 지능형 제어시스템 등 첨단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그의 연구는 산업자동화에서 항공우주 시스템까지 폭넓은 응용으로 확장되고 있다.

김용철 교수는 의약 및 생체분자화학(Medicinal & Biomolecular Chemistry) 분야에서 5년 연속 상위 1% 연구자로 선정되었다. 김 교수는 AI 기반 신약 개발과 바이오 혁신 플랫폼 구축을 통해 글로벌 제약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있다.

신약개발 산업화를 위해 벤처기업 ㈜펠레메드를 설립, 현재 대표이사를 맡고 있기도 한 김 교수는 “GIST가 세계적 석학을 유치하고, 연구자들이 최상의 환경에서 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GIST의 우수한 연구 인프라와 자원을 기반으로, 세계가 인정하는 연구 성과와 인류 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연구를 이어 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최근 별세한 故 김경웅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환경과학 분야)도 2021년부터 5년 연속 ‘세계 상위 2% 연구자’에 선정되며, 생전에 이룬 학문적 성취가 다시금 조명됐다.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정화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인 김 교수는 전기 없이 작동하는 정수 시스템을 개발해 물 부족 지역에 보급하는 ‘옹달샘 프로젝트’, 무동력 수처리 장치 ‘GIST 희망정수기’를 개발·보급을 통해 과학기술의 사회적 책임을 몸소 실천하며 소외된 지역과 지구 환경을 함께 돌보며 연구자의 본보기가 됐다.

임기철 총장은 “전임교원 대비 약 12%가 세계 상위 2% 연구자에 포함된 것은 GIST의 연구 경쟁력이 국제적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 주는 지표”라며, “앞으로도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지역사회와 국가, 인류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기여하는 대학으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명단은 전 세계 연구자를 22개 분야와 174개 세부 분야로 구분해, 최소 5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를 대상으로 1960년부터 2024년까지의 인용 횟수, h-인덱스, 저자 기여도 등을 종합 분석한 결과이며, 엘스비어의 학술 데이터베이스 ‘스코퍼스(SCOPUS)’를 기반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