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0일(월) GIST 오룡관에서 임기철 총장 및 김동원 총장 등 양교 주요 관계자와 교수진 참석한 가운데 열려… AI·의학·생명공학 등 미래 융합 분야 연구협력 방안 논의
GIST 출신 강지승 고려대 교수 등 양교 대표 연구자 9명 연구성과 발표… 공동연구센터 설립 및 인력 교류 등 수도권 종합대학 – 지역 과학기술원 간 지속 가능한 상생협력모델 구축 추진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11월 10일(월) GIST 오룡관에서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와 함께 ‘바이오·의과학 융합연구와 공동연구 촉진을 위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양교 연구자 간 협력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학문적 융합과 공동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두 대학은 이번 행사를 통해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연구 협력 기반을 다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행사에는 GIST 임기철 총장, 김용철 연구부총장, 박찬호 연구처장과 고려대학교 김동원 총장, 윤성택 연구부총장, 이헌정 연구처장을 비롯해 박성수 한국산학협동연구원(KIURI) 상임고문 등 주요 관계자와 관련 분야 양교 교수진 등이 참석했다.
특히 GIST 학사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 출신으로 올해 고려대학교에 역대 최연소로 임용된 강지승 보건환경융합과학부 교수가 발표자로 참여해, 양교의 인연이 한층 깊어진 의미 있는 장면을 연출했다.
개회식은 GIST 임기철 총장의 환영사와 고려대학교 김동원 총장의 축사로 시작되었으며, 이어 양교 연구처장이 각 대학의 연구 현황과 전략적 연구 방향을 소개했다.
본 행사인 연구발표 세션에서는 GIST 연구자 4명과 고려대학교 연구자 5명이 ▴인공지능(AI) 기반 연구 ▴의료·질병 진단 및 치료 기술 ▴바이오의약·생명공학 ▴나노기술 및 플랫폼 기술 ▴데이터 기반 연구·디지털 헬스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의 협력 가능성과 공동연구 과제 발굴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GIST에서는 AI 기반 단백질 결합 분자 설계, 효소 개발,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 근감소증 치료 등 첨단 융합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발표자로는 ▴진미선 생명과학과 교수가 ‘AI-driven binder design for Cryo-EM study’를, ▴엄수현 생명과학과 교수가 ‘AI-driven Enzyme Development(RuBisCO)’를, ▴김재관 의생명공학과 교수가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 및 치료를 위한 기술 개발’을, ▴류동렬 의생명공학과 교수가 ‘A Novel Paradigm in Muscle Aging Research: Innovation Through Bedside-Bench-Bedside Cyclic Research’를 각각 발표했다.
고려대학교에서는 AI 기반 의료 진단, 나노기술, 바이오의약, 의료 빅데이터 등 바이오·의과학 전반을 아우르는 미래지향적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유용상 바이오의공학과 교수가 ‘3D 바이탈 노드를 활용한 AI 기반 퇴행성 뇌질환 조기진단 플랫폼’을, ▴안동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가 ‘바이오의약 극저온 보관·유통을 위한 얼음 나노기술’을, ▴김재영 의학과 교수가 ‘Integrated Optical Platform: OCT Virtual Histology and FTIR-based Troponin Sensing for Coronary Risk Evaluation’을, ▴송현규 생명과학부 교수가 ‘UBR1 E3 ligase is a diverse platform for PROTAC development’를, ▴강지승 보건환경융합과학부 교수가 ‘Medical Big-data, Digital Health, RWD/RWE Study’를 각각 발표했다.
GIST 임기철 총장은 “오늘 심포지엄에서 생명과학, 의학, AI 등 첨단 융합 분야를 중심으로 두 대학의 역량을 하나로 모아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게 될 것”이라며, “수도권에 소재한 종합대학과 지역에 기반한 과학기술원 간의 상생적 협력 모델을 구축한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GIST에서 학사부터 박사까지 수학한 강지승 교수가 고려대학교 소속으로서 연구 성과를 선보이는 모습을 보니 더욱 뜻깊다”며 “앞으로 양교 연구 협력의 가교 역할을 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려대학교 김동원 총장은 “오늘 이 자리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아이디어와 협력 방안은 두 대학을 넘어 대한민국, 나아가 인류의 미래사회에 공헌하는 결실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정기적인 교류와 연구자 중심의 협력 체계를 구축해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함께 기여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GIST와 고려대학교는 지난 2020년 AI 분야 교육 및 연구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2021년에는 ‘미래 사회 혁신 대학 모색’을 주제로 제1회 심포지엄을 개최해 대학의 사회적 역할을 함께 논의한 바 있다.
두 대학은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공동연구 발굴, 공동연구센터 설립, 인력 교류 등 실질적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며, AI 기반의 바이오·의과학 융합 분야 등에서 국가 혁신을 선도할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 전임교원 12%가 세계 상위 2% 연구자… GIST, 양자·신약개발 등 최정상 연구 선도
- GIST, 아시아 폭염의 지역별 두 유형 규명... '기온+습도 복합효과 대륙 단위 최초 정량 분석'
- “산업단지 RE100 전환, 광주에서 답을 찾다”... GIST, 에너지 혁신 컨퍼런스 개최
- GIST, ‘천 원의 아침밥’사업에 NH투자증권 2천만 원 기탁
- 안도걸 의원, 광주를 명실상부한 ‘국가 컴퓨팅자원센터’ 중심 도시로
- GIST 김유수 교수, 제21회 경암상 자연과학 부문 수상
- 이병훈, “광주 청년 수도권 안 가도 꿈 이루는 도시 만들 것”
- “미래 대한민국 과학기술 주역 1천명, 광주에 모여 우정 쌓다”
- 광주시, ‘외국인주민 광주생활가이드’ 제작
- GIST-경북대, 하나의 소자만으로 뇌처럼 학습하는... 'AI 반도체 기술' 개발
- GIST-MIT 공동연구 심포지엄 개최… 5년 공동연구 AI 융합연구 성과 '총집합'
- GIST, ‘고정주 커뮤니티라운지’... 신축 총장 관사가 모두의 열린 공간으로
- GIST 설립 32주년, 새 정문과 함께 미래 도약
- GIST, ‘2025 GO! GO! GO! Fair’성황리 개최... 광주형 AI·모빌리티·에너지 산업혁신 모델 한자리에
- “서로 다른 생각 가진 학생들, 마주 앉았더니 의외로 통했다”... GIST, ‘1:1 심층 대화’로 민주적 토론문화 실험하다
- GIST, 우체국금융개발원, 금융·AI 융합인재 양성 및 지역 상생 위한 '업무협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