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웨이의 미국 현지 법인(Coway USA) 노동법 심각하게 어겼다...
노조 결성 방해 의혹까지... NLRB와도 법정 공방
3분기 실적은 '장밋빛'... 하지만 브랜드 신뢰도 타격 불가피

글로벌 홈케어 기업 코웨이가 미국에서 대규모 노동법 위반 스캔들에 휩싸였다. 방탄소년단(BTS)을 브랜드 홍보대사로 내세우며 프리미엄 이미지를 구축해온 코웨이의 미국 현지 법인(Coway USA)이 지난해 연방 노동부에 의해 초과근무 미지급 혐의 소송에 피소된 데 이어, 최근 캘리포니아 법원에서 또 다른 노동법 관련 소송에 피소된 사실이 확인됐다.
이 문제는 지난해 9월부터 시작된다. 24년 9월, 미국 노동부는 캘리포니아 중부지방법원에 코웨이 USA를 상대로 공정근로기준법(FLSA) 위반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 노동부는 코웨이가 초과근무 수당 계산에 결함이 있는 방법론을 사용해 초과근무를 더욱 줄이고 직원들의 초과근무 임금을 빼앗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르면 코웨이는 직원들이 고객과 통화하는 시간, 배송 제품을 싣고 내리는 시간, 재고를 찾기 위한 창고 이동 시간, 의무 교육 참석 시간에 대한 임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심지어 직원들이 고객 요구를 맞추거나 일정을 지키기 위해 점심시간에도 일했는데도 자동으로 점심시간을 공제했다. 부서는 코웨이가 180명 이상의 직원들에게 수십만 달러의 미지급 초과근무 임금을 빚지고 있다고 추정했다. 이에 샌프란시스코 지역 법무관 마크 필로틴은 "코웨이는 연방법을 고의로 위반해 직원들이 힘들게 번 초과근무 수당을 빼앗고 근무시간을 위조했다"라고 비판했다.
코웨이 직원들은 쉬지 않고 일하라는 요구를 받았습니다.
수년간 임금을 횡령당하고 임금 인상도 거부당했습니다. 우리는 협박과 두려움 속에서 조직되었고, 강력한 다수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이제 코웨이는 우리의 목소리를 억누르려는 노력을 멈춰야 합니다.
<LA포스트의 9년 차 근무자인 박은애 씨 인터뷰>
-
“클릭 즉시 해킹 당하는 악성 코드 포함 ‘유튜브 영상’?\" 어떻게 피하나...3,000개 이상 유튜브 영상에서 최신 악성 코드 발견
- 챗GPT, “12월부터 ‘에로티카’처럼 19금 허용” 도입...OpenAI 샘 알트먼,"성인은 성인답게" 공식 선언
- SK그룹, 엔비디아와 협력한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내용은?
- “오늘 주춤한 현대차 주가”...새 보고서에는 “26년 하이브리드로 혼다 제친다” 美 판매 27%↑ 주가 상승 재료 언급…"목표가 36만원 상향"
- 카카오톡 업데이트 미루던 사람들, 신규 오픈채팅방 막히자 분통...친구 탭 복원 대체 언제쯤?
- AI의 지우개, 머신 언러닝이 뜬다… 한국도 ‘잊힐 권리’ 기술 확보 나서
지난주, 코웨이 노조 결성 방해 의혹... NLRB와도 법정 공방 시작
코웨이 USA가 현지 직원들의 노동조합 결성 시도를 방해한 혐의로 미국 연방 기관의 조사를 받는 가운데, 오히려 해당 기관의 법적 정당성에 문제를 제기하며 맞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내 민간 부문 노동법 위반 사건을 다루는 독립 연방 기관인 국가노동관계위원회(NLRB)는 지난 7월 말, 코웨이 USA를 부당노동행위(ULP) 혐의로 행정고발했다. 이번 조사는 로스앤젤레스(LA) 및 인근 5개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코웨이 레이디(CODY), 코웨이 닥터(CODOC), 코웨이 테크니션(CT) 등 현장 직원들이 '캘리포니아 레스토랑·리테일 노동자 조합' 가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불거졌다. NLRB는 이 과정에서 사측의 부당한 개입이 있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코웨이 USA는 NLRB의 고발 조치를 중단시키기 위해 11월 3일 워싱턴DC 연방법원에 NLRB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며 법적 대응에 나섰다. 코웨이 측이 문제 삼은 것은 NLRB 수장의 '절차적 정당성'이다. 코웨이는 윌리엄 코웬 NLRB 법무총장 대행의 임명에 대해 연방 공석법이 허용하는 40일의 기한을 초과했기 때문에 불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만약 법원이 코웨이의 주장을 받아들여 코웬 대행의 임명이 법적 효력이 없다고 판단할 경우, 그의 권한으로 이루어진 코웨이 USA에 대한 행정고발 역시 무효가 될 가능성이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연방 노동부 소송에 이어 최근 새로 제기된 소송
코웨이 USA 전 직원인 헤이즐 미나즈가 지난 7월 14일 제기한 임금 미지급 노동법 소송은 코웨이 USA에 근무했던 모든 현직 및 전직 직원들을 대표하는 소송으로 제기됐다.
원고는 코웨이 USA가 캘리포니아 노동법과 산업복지위원회(IWC) 임금 명령을 위반했다며 제기한 총 여섯 가지 혐의는 다음과 같다.
1. 회사가 휴식이나 회복 시간 등 비생산적인 시간에 대해 별도의 보상을 지급하지 않았다.
2. 5시간 이상 근무하는 직원들에게 30분 이상의 의무적인 식사 시간을 제공하지 않았거나, 이를 대체할 보상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3. 4시간 근무마다 제공되어야 하는 유급 10분 휴식 시간을 제공하지 않았다.
4. 임금 명세서에 총 근무 시간, 건당 수당 단위, 휴식 및 회복 시간 등에 대한 항목이 누락되거나 부정확하게 기재되었다.
5. 퇴사 시점에 모든 임금과 누적된 보상금을 법이 정한 기간 내에 지급하지 않았다는 점이 포함됐다.
6. 이러한 일련의 위반 행위가 캘리포니아 불공정 경쟁법(UCL, §17200 et seq.)상 불법적이고 불공정한 사업 관행에 해당한다.
원고 측은 코웨이 USA에 대해 미지급된 임금과 초과근무 수당, 민사상 벌금, 변호사 수임료 및 소송비용의 지급을 요구하고 있다.
3분기 실적은 '장밋빛'... 하지만 브랜드 신뢰도 타격 불가피... "소송이 기업 가치 하락 초래"
이로써 코웨이 USA는 연방 법원과 캘리포니아 주 법원 두 곳에서 동시에 노동법 위반 소송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 맞닥뜨렸다. 소송 부담이 커진 가운데, 본사는 지난 7일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실적 발표에 따르면 코웨이는 국내 시장에서만 3분기 매출 7,402억 원을 달성하며 전년 동기 대비 약 12% 성장했다.
- 3분기 매출: 1조 2,544억원(전년 동기 대비 +14.0% YoY)
- 3분기 영업이익 2,431억원(+17.4% YoY)
(보고된 수치는 통합 K-IFRS(국제회계기준)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코웨이 최고재무책임자(CFO) 김순태는 "주요 생활가전 제품의 판매 호조와 BEREX 침대 및 안마의자 라인업의 꾸준한 성장이 이번 분기 전체 실적을 견인했습니다."라고 전했다.
하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소송 리스크가 단순한 재정적 손실을 넘어, 브랜드 가치와 평판을 훼손할 가능성이 더 크다”라고 경고한다. 글로벌 시장 가치의 70~80%가 브랜드 자산·영업권·지적 자본 같은 무형자산에서 발생하는 현실에서, 노동권 관련 분쟁은 투자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신뢰 리스크’로 작용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고용 문제를 둘러싼 소송은 대체로 ‘차별·불공정 대우’ 이슈와 연결돼 있어, 기업의 윤리성과 사회적 책임(ESG)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 번 악화된 평판은 고객 이탈과 신규 수요 위축으로 이어지기 쉽다.
현재까지 한국 본사는 미국 자회사 코웨이USA의 소송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비즈니스 앤 휴먼라이츠 리소스센터(Business & Human Rights Resource Centre)가 올해 5월 코웨이에 미국 내 노동권 침해 의혹에 대한 해명을 요청했지만, 코웨이는 별도 답변을 내지 않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코웨이가 BTS를 내세워 글로벌 프리미엄 이미지를 구축해왔지만, 현지 직원 착취 혐의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브랜드 신뢰도는 치명상을 입을 것”이라며 “ESG 경영이 투자 기준으로 자리 잡은 지금, 노동 인권 이슈는 재무제표보다 더 큰 리스크가 된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코웨이 관계자는 “당사는 미국 내 관련 법규와 절차를 철저히 준수하며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진행 중인 사안에 대해서도 법적 절차에 따라 성실하고 투명하게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클릭 즉시 해킹 당하는 악성 코드 포함 ‘유튜브 영상’?" 어떻게 피하나...3,000개 이상 유튜브 영상에서 최신 악성 코드 발견
- 챗GPT, “12월부터 ‘에로티카’처럼 19금 허용” 도입...OpenAI 샘 알트먼,"성인은 성인답게" 공식 선언
- SK그룹, 엔비디아와 협력한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내용은?
- “오늘 주춤한 현대차 주가”...새 보고서에는 “26년 하이브리드로 혼다 제친다” 美 판매 27%↑ 주가 상승 재료 언급…"목표가 36만원 상향"
- 카카오톡 업데이트 미루던 사람들, 신규 오픈채팅방 막히자 분통...친구 탭 복원 대체 언제쯤?
- AI의 지우개, 머신 언러닝이 뜬다… 한국도 ‘잊힐 권리’ 기술 확보 나서
- 삼성전자, AI·OIS 카메라 탑재한 ‘갤럭시 A17 LTE’ 성능은?
- 오늘 10만전자 회복, “삼성전자 정현호 부회장 전격 사의” TF도 끝… 이재용, 깜짝 실적 뒤 왜 '박학규'를 택했나? 재무·경영통에 대한 증권가 전망
- [진단_광고마케팅 ②SM C&C] SM C&C 박태현 대표, 광고 부진·내부거래 축소 ‘이중 악재’… 그룹 재편 속 실적 방어 ‘비상’
- [진단_지주회사 ⑬포스코홀딩스] 포스코홀딩스 ESG 추락… 장인화號, 정부 눈치보다 주주 외면, ESG·지배구조 모두 적신호
- 드디어 방황 끝낸 뉴진스, 코카콜라·빼빼로 등 주요 광고들 되찾을 수 있을까
- 코웨이 USA 또 피소…“안마의자 4000대 약속해놓고 1대도 안 샀다” 미국 시장 신뢰 추락
- 18일에만 1.6% 하락 ‘에이피알’, “MSCI 한국지수 편입”되어도 …높은 메디큐브 의존도에 내년은 걱정, 美 FDA 신고 · 필리핀 무허가 대응 리스크
- [경영 레이다] 혁신을 외치다 부실을 키운 정육각… 초록마을의 비극적 결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