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학생들, 사서교사 양성인원 확대 촉구하며 교육부 앞 시위
광주‧전남지역 대학의 사서교사 양성 인원이 전국적으로 터무니없이 낮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생들은 교육부가 지역 내 사서교사 양성 인원 확대 및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양성과정) 신설을 거부하고 있다며, 지역 차별 철폐와 교육 기회 확대를 요구하고 나섰다.

- “경기대는 2년간 156명, 광주·전남 전체는 단 5명”
2023년 한 해 동안 경기대학교 한 곳에서만 80명이, 2024년에는 76명이 사서교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반면 광주‧전남 전체 대학에서는 해마다 단 5명(전남대 2명, 광주대 3명)만이 교직과정을 통해 사서교사 자격증을 받을 수 있다. 교육대학원을 통한 사서교사 양성 인원은 2024년 기준 ‘0명’에 그치고 있다.
이로 인해 2024년 광주광역시의 초중등학교 327곳 중 정규직 사서교사가 배치된 학교는 39곳(배치율 11.9%)에 불과하며, 전남 역시 856개 학교 중 125곳(배치율 14.6%)만이 정규직 사서교사를 보유한 실정이다.
- “전남대 자체 정원 내에서 합의… 교육부는 묵살”
전남대학교는 2022년부터 교육대학원에 사서교육전공(양성과정) 신설(연 5명 양성)을 요청해왔으나, 교육부는 “교사 양성 정원이 늘어난다”는 이유로 이를 거부해 왔다. 전남대학교는 이미 대학 내에서 교사 양성 정원 범위 내 합의를 통해 조정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교육부가 정당한 근거 없이 이를 거부하고 있다며 지역민의 직업 선택의 자유 및 교육받을 권리를 침해하는 차별적 정책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 “교육부 정책은 명백한 차별… 개선 촉구 시위 확산”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생들은 지난 11월 14일 교육부 앞에서, 11월 10일에는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1층에서 연이어 시위를 벌였다. 학생들은 이번 상황을 “교육받을 권리 침해이자 전남대에 대한 교육부의 갑질”로 규정, 총학생회와 시민단체, 지역 국회의원과 연대해 시정을 요구할 방침이다.
전남대 학생들은 “지역 인재를 지역에서 육성해야 한다는 교육부의 ‘글로컬’ 정책에도 맞지 않는 실정”이라며 “합리적 기준 없이 광주‧전남 지역만 양성 정원이 축소되고 있는 건 명백한 차별”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향후 계획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생회는 광주‧전남 시민단체와 지역 국회의원, 총학생회 등과 공동 대응을 추진해 교육부의 부당한 정책 개선을 계속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 전남대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 학술대회서 잇단 수상
- 전남대병원 이동훈 교수, ‘2025 대한응급의학회 소생의학상’ 수상
- 광주시, ‘K-문화콘텐츠 테크타운 조성’ 국회토론회
- 전남대 글로벌교육원, 김현수 명예교수 초청 특강
- 전남대, 여수서 ‘K-수산해양 성과확산 국제 전략 포럼’ 개최
- 전남 동부권 5개 대학, '글로벌 인재 양성 협력' 가속
- 전남대병원 김자혜 교수팀, 파킨슨병 연구로 국제학술대회 ‘최우수 포스터상’
- 광주시교육청, 17일 ‘광주 자율형 공립고 2.0 발전 포럼’
- 광주시, 외국인 유학생·시민 함께하는 축제 연다
- 전남교육청, 이중언어강사 전문성 ‧ 문화 다양성 역량 강화
- 전남대에서 시작된 연대, 태국 학습자 가족 품으로
- 전남대 조경학과 학생팀, 생활민원 해결한 설계로 공모전 대상
- 이언주 국회의원, 전남대서 ‘한미 산업동맹과 호남경제’ 강연
- 전남도, 고3 수험생 전세사기 피해 예방교육
- 누구나 맘편한 진료… 광주형 건강돌봄, 일상에 뿌리내려
- 광주시, 초미세먼지 재난대응 모의훈련 실시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카카오클라우드 입문 트랙’ 교육생 모집
- 광주은행 제21대 노동조합위원장... 박만 후보 '당선'
- 광산구 "지속가능 일자리, 우리 사회가 나아갈 길”
- 나광국 도의원, 침묵과 갈등을 넘어... '무안형 RE100 산단' 청사진 제시
- 이재태 도의원, “전보서열 ‘깜깜이 운영’ 5곳… 전남교육 인사행정 신뢰 흔든다”
- 농협광주본부, 농심천심 실천 ‘사랑의1004운동’... '나눔문화' 선도
- NH투자증권, 전남대 ‘천원의 아침밥’에 발전기금 기부
- 목포 삼학도 복원지 공공기관 부지 전환 논란… 25년 복원사업 물거품 위기
- 전남대 인문대학 2호관, 48년 만에 개축 완료
- 전남대 ‘토마토팀’, 영농창업동아리 경진대회 '최우수상'
- 전남대 정현석 학생, 태양에너지학회 ‘우수발표논문상’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