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순형 교수팀, 기존 대비 2배 이상 높은 효율·무전원 작동 구현
전남대학교 연구팀이 태양빛만으로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물질로 바꾸는 차세대 인공광합성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기술보다 효율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며,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길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19일 전남대에 따르면, 화학교육과 강순형 교수 연구팀은 포항가속기연구소·한양대학교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은(Ag) 단원자 촉매 기반 태양광 CO2 전환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태양광 에너지만을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바꾸는 인공광합성형 장치로, 태양–연료 변환 효율 8.8%, 패러데이 효율 94%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입증했다. 이는 기존 전기화학식 CO2 전환 시스템보다 2배 이상 높은 효율이다.
핵심은‘은(Ag) 단원자 촉매’이다. 연구팀은 은 단원자를 아연 인산염(Zn3(PO4)2) 나노입자에 균일하게 도입해 촉매의 전자 구조를 정밀하게 조절했다. 그 결과, CO2가 반응하는 과정이 훨씬 원활해져 반응 선택성과 효율이 크게 향상됐다.
여기에 GaAs 기반 광전극과 Pt 단원자 니켈산화물(NiOOH) 광양극을 결합해, 외부 전기 공급 없이도 작동하는 ‘자가 구동형 태양연료 생산 시스템’까지 구축했다.
한양대 김병현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DFT 계산)을 통해 이런 성능 향상이 일어나는 원리도 밝혔다. 은 단원자가 들어가면 촉매 내부의 전자 분포가 바뀌어 CO2가 붙고 떨어지는 과정이 더 쉽게 일어나며, 그 결과 반응에 필요한 에너지(과전압 0.49V)가 크게 줄어든다는 것이다. 즉, 실험적 성과가 이론적으로도 확인된 셈이다.
강순형 교수는 “태양광만으로 이산화탄소를 다시 유용한 자원으로 바꾸는 핵심 기술을 제시한 연구”라며 “차세대 인공 광합성 시스템의 실용화 가능성을 높인 의미 있는 성과”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및 중견연구의 지원을 받았으며, 에너지 분야 세계적 권위지 Advanced Energy Materials(IF 26, 상위 2.5%) 2025년 11월호에 게재됐다.
- 전남대에서 시작된 연대, 태국 학습자 가족 품으로
- 전남대 조경학과 학생팀, 생활민원 해결한 설계로 공모전 대상
- 이언주 국회의원, 전남대서 ‘한미 산업동맹과 호남경제’ 강연
- 전남대치과병원, 개원 17주년 기념식 개최
- 전남대병원, 대한응급의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겹경사
- [내일날씨]패딩 지퍼 살짝 내려볼까…낮 16도 '포근', 하늘은 온종일 '찌뿌둥'
- 전남대 인문대학 2호관, 48년 만에 개축 완료
- 전남대 치과대학·치전원 총동창회, ‘2025 용봉치인의 날’ 성료
- 제주-목포 대형여객선 퀸제누비아2호, 신안 족도 해상 좌초…승객·선원 267명 구조 진행
- 김영록 전남지사, ‘퀸누제비아2호 해상 사고’ 신속 대응… '246명 전원 무사' 구조
- [내일날씨]뜨거운 '불금' 대신 차가운 칼바람…맑은 하늘 아래 체감온도 뚝
- [기고] 전남의 미래는 분열 아닌 통합에 달려있다
- ‘모두가 평등하고 안전한 살기 좋은 전남’ 머리맞대
- “서로 다른 생각 가진 학생들, 마주 앉았더니 의외로 통했다”... GIST, ‘1:1 심층 대화’로 민주적 토론문화 실험하다
- 광주경자청, AI·모빌리티 유망기업 초청 '팸투어'
- 한전, UAE원자력공사와 원자력 신기술 및 글로벌 시장 공동진출 협력 MOU 체결
- 전남대 ‘토마토팀’, 영농창업동아리 경진대회 '최우수상'
- 전남대, ‘2025 광주 글로컬대학 비전’ 선포
- 전남대 정현석 학생, 태양에너지학회 ‘우수발표논문상’ 수상
- 전남대박물관, 최삼현 컬렉션 첫 특별전 개막
- 전남대, 당뇨성 간 손상 치료 연구 국제적 영향력 인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