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빨대가 야기한 혼란, 환경부 오락가락 규제도 문제
농심의 오래된 음료 제품 카프리썬이 종이 빨대 변경 20개월 만인 내달 플라스틱 빨대로 되돌아간다. 그간 소비자들의 불만이 컸던 터라 플라스틱 빨대로 회귀를 반기는 소비자가 많다.
해프닝의 발단은 지난 202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문재인 정부는 11월 24일 자로 식당에서 일회용 컵과 플라스틱 빨대 등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하는 조처를 시행하고 1년의 계도 기간을 정했다.
윤석열 정부로 바뀐 뒤 계도 기간 연장과 더불어 2022년 11월부터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제도가 확대 시행됐다. 이에 종이컵, 플라스틱 빨대 사용이 줄고 마트에서 무상으로 제공하던 비닐봉지가 없어지는 등 변화가 시작됐다.
![카프리썬 플라스틱 빨대 [사진=농심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0/353654_365948_4823.png)
일부 기업과 커피 프랜차이즈들은 정부 방침에 맞춰 일회용품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2023년 2월, 농심은 카프리썬 빨대 소재를 기존의 플라스틱에서 종이로 바꿨다. 스타벅스와 폴바셋, 투썸플레이스 등 일부 프랜차이즈 커피 업체는 이미 2021년부터 종이 빨대를 사용 중이었다.
문제는 종이 빨대 특유의 이질적 질감과 시간이 지날수록 눅눅해지는 현상 등 단점이 부각됐다는 사실이다. 소비자들의 불만은 점점 커졌다. 커피전문점의 경우, 종이 빨대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늘었다.
과일 음료인 카프리썬은 생각보다 타격이 컸다. 빨대가 필수적인 제품 특성 상, 소비자 불만이 거겠다. 농심은 2차례 품질 개선에 나섰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결국 종이 빨대 교체는 카프리썬 매출 부진으로 이어졌다. 매년 900만 박스에 가깝던 카프리썬 판매량은 종이 빨대 도입 이전인 2022년 대비 지난해 13%나 줄었다. 올해 3분 현재도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한 상황이다.
![카프리썬 종이 빨대 [사진=농심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0/353654_365947_4730.jpg)
농심은 결국 플라스틱 빨대로 회귀를 선언했다. 농심 관계자는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 것도 필요하지만, 소비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ESG 경영과 소비자의 편의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카프리썬과 유사한 사례는 과거에도 있었다. 컵라면 왕뚜껑의 플라스틱 뚜껑을 없애버리자 무려 50% 가까이 판매량이 급감했다. 제품의 상징인 왕뚜껑이 없어지자 소비자 불만이 커졌고 결국 다시 원래 뚜껑을 제작했다.
이런 혼선은 커피 업계에서도 나타난다. 스타벅스를 필두로 폴바셋, 투썸플레이스는 종이 빨대를 여전히 사용 중이지만 이디야, 메가커피, 빽다방은 플라스틱 빨대를 계속 쓴다.
일각에서는 종이 빨대가 오히려 환경에 안 좋다는 주장도 있어 논란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또한 매년 계도 기간을 연장하고 플라스틱 빨대 규제를 무기한 시행하는 등 오락가락 정책을 내놔 애꿎은 소비자와 기업들만 혼선을 빚었다는 볼멘소리가 여전하다.
- 오뚜기, 베트남에 ‘오빠라면’ 출시...동남아사아·서남아시아 진출 포부
- 대한항공, 난기류 늘자 이코노미석 신라면 제공 중단...농심 영향은?
- 오뚜기, 11년 만에 진라면 리뉴얼 승부수...떨어진 순위 회복할까
- 농심·넥슨에 우아한형제들...올해도 뜨거운 업체들의 한글날 마케팅
- 생수도 친환경 전쟁...라벨 떼고 용기 무게 줄인 친환경 제품 속속 등장
- 마카롱 다음은 소금빵?, 식을 줄 모르는 인기...MZ세대 취향 저격
- 삼양식품 식품업계 시가총액 1위 대기록 일등공신은?..."불닭 의존도 높다" 우려도
- 농심, 신라면 신제품으로 삼양 불닭과 자존심 대결
- 코카콜라, 제로콜라 중량 5ml 줄여 논란..."문제 없다" 해명에도 소비자는 불만
- 굴소스 볶음면 개발한 오뚜기, 농심 '신라면 툼바' 삼양 '불닭'과 3파전 벌어지나
- 김가네 김용만 회장 입건에 또 터진 요식업계 오너리스크...가맹점주들 한숨
- 일부 우려에도...스타벅스 3분기 매출 7875억원 역대 최고
- 풀무원, 식품 업계 순위 흔드나...3분기 최대 실적 비결은
- 3분기 부진했던 농심, 히트과자 빵부장 신제품으로 반등 노린다
- 스타벅스코리아, 매장 수 글로벌 3위 넘본다...무서운 기세로 추격 중
- 고물가에 물값도 오른다...농심 백산수 가격 인상, 다른 업체 영향은
- 신라면·바나나맛우유 해외판 용량 달라....내수차별 주장에 업체 반응은
- 추억의 콩라면 24년 만에 재출시한 농심...빙그레 매운콩라면은?
- 대세로 떠오른 모디슈머, 오뚜기도 참전...참깨라면+컵누들 통할까
- 서민은 구경 못하는 라면도 있다...하늘 위 수백만 원짜리 라면 논란
- 커피 프랜차이즈 알바 테러글 논란..."알바 SNS까지 관리해야 하나" 프랜차이즈 점주들 한숨
- "저가커피 너마저" 1500원 아아 역사속으로...컴포즈커피도 가격 올렸다
- 불닭 강세에 자존심 상한 농심, 툼바로 반등 노린다...잇단 해외 진출에 마케팅 전략도 관심
- 디저트 1위 투썸플레이스 소비자 기만?...부직포 케이크 띠지 논란 확산
- '흑백요리사'는 2등인데 광고는 1등?...농심·맘스터치·코카콜라·매일유업과 손잡은 에드워드 리
- 메가커피는 쓰고 스타벅스는 안 쓰고...4년째 이어지는 플라스틱 빨대 규제 논란
- 부직포 케이크로 혼쭐났는데...투썸플레이스, ‘스초생’ 가격도 올렸다
- 스타들 말과 행동에 기업들은 희비쌍곡선...농심·하이트진로 웃고 하이브는 울고
- 기온 올라가며 주목받는 비빔면 업계 기상도는?...농심 뜨고 팔도 떨어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