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 업체 “논의된 바 없다” 미온적 태도
연초부터 불거진 배달 수수료 갈등이 연말이 다 돼가는 시점에 접점을 찾았다. 이에 그간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가맹점주를 보호하겠다고 속속 도입한 이중가격제를 철회할지 주목된다.
지난 1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2차 상생협의회’에서 배달플랫폼과 가맹업체는 오랜 논의 끝에 배달 중개 수수료를 2.0%~7.8%로 차등 적용하기로 합의했다. 일부 관계자들이 반발해 퇴장하기는 했으나 결국 가결됐다.
지난 11차 회의에서 배달의민족(배민)은 기존 9.8% 수수료를 2.0~7.8%로 차등 적용하는 안을 내놨고, 쿠팡이츠는 2.0%~8.0% 안을 제시했다. 이번 12차 회의에선 쿠팡이츠가 배민의 제안을 수용했고, 기존에 5% 수수료를 고수하던 가맹업체들도 한발 물러나 합의에 이를 수 있었다.
다만, 점주들이 부담하는 배달비는 일부 올리기로 했다. 지금은 거래액과 상관없이 지역에 따라 1900~2900원이지만, 앞으론 거래액 상위 35%는 2400~3400원, 35~50%는 2100~3100원, 그 이하는 1900~2900원을 내는 식이다. 내년부터 3년간 적용될 예정이다.
이번 합의안이 합리적이지 않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한 프랜차이즈 업체 관계자는 “이번 합의안에 따르면 차등 수수료가 적용된다고 들었다”며 “실질적으로 가맹점주에게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다”고 의견을 냈다.
쿠팡이츠 관계자는 “고객들에게 무료배달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모든 자영업자에게 수수료 할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상생안을 제안했다”며 “적자 상황의 후발주자임에도 배민의 차등수수료 상생안을 바탕으로 제외되는 매장 없이 모든 자영업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쿠팡이츠 로고 [사진=쿠팡이츠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1/356150_369517_4127.png)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배달플랫폼과 가맹업체 간의 합의가 엉터리라는 소리도 나왔다. 한 소비자는 “돈을 내고 시켜먹는 것은 우리인데 왜 소비자 의견은 안듣냐”며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배달수수료 올랐다고 도입한 이중가격제 철회를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지난 9월 여러 프랜차이즈 업체가 배달수수료 인상으로 가맹점주를 보호한다는 명목하에 이중가격제를 도입, 배달앱으로 주문하는 이용자에게 1000원에 가까운 금액을 더 받았다.
![배달의민족 로고 [사진=우아한형제들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1/356150_369518_4212.png)
지난 9월 이중가격제를 도입한 롯데리아(롯데GRS) 관계자는 “현재 이중가격제 철회 관련 따로 논의하는 내용은 없다”고 답했다. 마찬가지로 10월 이중가격제를 도입한 한솥도시락 관계자 역시 “상생협의체 합의 관련 따로 논의 중인 것은 없다”고 전했다.
- 배민 수수료 인상이 몰고온 후폭풍..."카카오 전철 밟을 것" 지적까지
- 티메프 사태로 본 국내외 e커머스 업계 실태...소비자는 혼란스럽다
- 소상공인들 배민 독립운동 전개...대기업에 밀린 공공 배달앱 돌풍 일으킬까
- 배달기사 컴퓨터 문 앞에 던져 논란...네티즌 반응은?
-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 격...요기요, 사상 첫 희망퇴직 신청
- 차근차근 배달 시장 점유율 높여가는 쿠팡이츠...결정적 비결은
- 상승세 이어가는 롯데리아, 재도입한 이중가격제 실적에 영향 줄까
- 한솥도시락, 요식업계 뜨거운 감자 이중가격제 도입...배경 알아보니
- 매장 직원과 배달기사의 팽팽한 신경전?...버거킹 모 지점 제보글에 벌어진 갑론을박
- 배달 수수료 인상이 불러온 배달업계 갈등...배달 플랫폼 “제각각 절충안 제시” 자영업자 “수수료 인하”
- 8번 만나도 여전한 입장차...배달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 9차 회의라고 다를까
- 여전히 동상이몽...배달 상생 협의체 또 결렬, 약속했던 10월도 끝나
- 일부 소비자 불만에도 BHC가 콜라 돈받는 이유
- 피자 수난시대, 피자헛은 회생신청 중.. 배달음식 순위 중화요리에 밀려...
- [단독] 토스트 업계 대부 이삭 토스트, 포켓몬스터와 협업 대흥행
- 여대 시위 불똥이 써브웨이로..."시위 지지한다" 지점 명의 글에 논란 일파만파
- CJ대한통운 야심찬 주 7일 배송제 벌써 잡음...택배기사들 볼멘소리
- 프랜차이즈 햄버거 대박났다...맥도날드·롯데리아 연 매출 1조원 달성 비결은
- 배달업계 라이벌 배민·쿠팡이츠, 새해부터 서로 다른 카드로 대격돌 예고
- 도시락 1위 한솥 신메뉴 두고 점바점 이슈...제육 어디는 많고 어디는 적어
- 배민, 배달로봇 개발 8년 만에 빛 보나...강남에서 실용화 테스트 한창
- 1만원 넘는 스타벅스·아티제 조각 케이크...밥 한끼보다 비싼 가격 이유는
- 배민·요기요 로봇부터 CJ대한통운 드론까지...막 오른 배달플랫폼 기술경쟁 한편에선 보완책 요구하는 목소리도
- 핸드폰·신발·공기청정기 쓰다가 반품...쿠팡 정책 악용한 빌런에 소비자 공분
- 배달의민족 방문포장 수수료 부과 예고에 프랜차이즈·소비자 강력 반발
- 점주와 소비자, 배달 관련 갈등 계속 늘어나는데...리뷰 정책은 옛날 그대로...
- ‘실물과 차이가 있습니다’는 면죄부? 반복되는 프랭크버거 내용물 부실 논란...해외에선 소송감
- 롯데리아, 베트남산 수입패티서 항생제 성분 검출...“전량 폐기 조치”
- 배달의민족 지난해 4조원 벌었는데...미온적인 소비자 반응, 왜?
- 엎친 데 덮친 배민...방문포장 수수료에 여론 싸늘한데 배달 라이더까지 파업 예고
- 쿠팡 질주에 배민·티빙, 네이버·넷플릭스 손잡았다...시너지 기대 한편에선 우려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