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업체들 “환불 처리 및 전수 조사”
최근 온·오프라인 가리지 않고 의류 매매가 활성화된 가운데 인기 있는 이커머스 업체와 굴지의 대형 유통 업체가 연달아 가품 논란에 휘말렸다.
6일 유튜버 상자의 신발상자는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 판매하는 나이키 스튜시 맨투맨 제품이 가품이라고 주장했다. 이 유튜버는 한국명품감정원에 며칠 전 의뢰한 감정 결과도 공개했다.
한국명품감정원은 이 유튜버가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 구매한 제품이 가품이라고 통보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리셀 플랫폼 크림에 검수 의뢰를 맡긴 결과도 가품이었다.
![유튜버가 공개한 스튜시 맨투맨 감정소견서 [사진=유튜브]](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1/363077_378902_5051.jpg)
해당 영상을 본 소비자들은 술렁였다. 이마트 트레이더스를 비롯해 최근 유명 유통망에서 구입한 물건들이 하나둘 가품 판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한 소비자는 “국내에서 가장 큰 대형마트에서 가품을 팔 줄은 몰랐다”며 “배신감이 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소비자는 “비싼 돈 주고 구매한 제품이 가품이면 화가 날 것 같다”며 “가품이 많이 유통되면 수프림처럼 진품인지 가품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지경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유튜버 게시물에 달린 댓글 [사진=유튜브]](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1/363077_378903_5118.jpg)
이번 소동과 관련, 이마트 관계자는 “당사에서 판매한 상품에 대한 가품 논란으로 고객들에 불편을 끼쳐 죄송하다”며 “논란이 발생한 시점에 선제적으로 해당 상품의 판매를 즉시 중단했다. 환불을 원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전액 환불 절차를 신속히 진행 중이다”고 고개를 숙였다.
다만 가품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는 게 이마트 입장이다. 이 관계자는 “해당 상품은 매장 내외의 행사 공간에 협력사가 입점해 판매한 것으로, 협력업체와 협의해 여러 검증 기관을 통해 상품의 진위를 철저히 확인하고 있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협력업체 행사 상품에 대해서도 품질 관리 및 검수 체계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에는 국내 최대 패션 플랫폼 무신사에서 입점 브랜드 상품 소재 혼용률을 두고 한바탕 난리가 났다. 일부 제품의 상품 정보가 허위로 기재됐다는 주장이 이어지자 무신사는 전수조사에 나섰고 실제 오리털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 신뢰에 흠집이 났다. 이에 무신사 측은 “6일 모든 입점 업체 전수조사에 나섰다”며 “적발 시 삼진아웃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크림 역시 지난해 어그부츠 가품을 제대로 검수하지 못해 소비자들의 질타를 맞았다. 어그 부츠는 해외 유명 브랜드 ugg의 주력 상품으로 국내에서는 신세계인터내셔날이 판매하고 있다.
![크림에서 판매 중인 어그부츠 [사진=크림]](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1/363077_378904_5220.png)
해외에서 병행수입한 물품을 매매하는 크림의 가품 논란이 늘자 미국 본사 데커스 아웃도어는 크림 측에 가품 판매자들을 제지해달라고 요청했다. 크림은 이에 “어그 제품군에 한해 국내 공식 수입유통사(신세계인터내셔날) 태그가 있는 경우만 검수한다”고 설명했다.
- 택갈이 논란에 입 연 의류 브랜드 인사일런스 "유사제품 인지 못했다"
- 승승장구하는 유니콘 무신사, 면접관 태도 논란 일파만파...무슨 일?
- 유니콘 기업 무신사 계속되는 상품 논란...수요 많은 만큼 문제 제기도 잇따라
- 백종원 새 예능 소년범 미화 논란 일파만파...더본코리아·프랜차이즈 영향은
- 가품 논란에 체면 구겼던 무신사, 어그부츠로 크림에 한방 날렸다
- 또 터진 편의점 도시락 ‘창렬’ 논란...'흑백요리사' 협업한 CU 신제품에 소비자 불만
- 비상정국에 유행한 선결제 응원, 일부 점주 태도 논란에 부정 의혹까지
- 계엄 불똥 유통업계까지...진영 대결로 촉발된 푸르밀 등 불매운동, 시민 생각은
- 커피 프랜차이즈 알바 테러글 논란..."알바 SNS까지 관리해야 하나" 프랜차이즈 점주들 한숨
- 크림, 가품 논란 또 터졌다..."검수 시스템 제대로 작동하나"...신뢰성 또 흠집
- "세일기간 가격 올려 소비자 기만"...유튜버 주장에 올리브영 "가격은 브랜드사 소관"
- 반복된 참사 희화화...공차 점주, 알바생 공지문에 제주항공 사고 언급했다 뭇매
- 쿠팡 타도 외치며 지마켓과 손잡았는데...돌변한 알리익스프레스
- 파리바게뜨 이어 이디야커피까지...선의로 시작한 선결제 문화 또 잡음
- 무신사 새벽 쿠폰 소동...200만원 주려다 1000억원 날릴 뻔했다
- 최대 9일 쉬는 설 연휴, 제주항공발 비행기 포비아에 국내여행 느나
- 이디야커피, 말레이시아 이어 라오스·캄보디아 등 동남아에 깃발 꽂은 이유
- 스팸에 도전장 낸 더본코리아 백종원의 빽햄, 품질·경쟁력·가격 둘러싸고 논란
- 새로운 쇼핑 패러다임 제시한 신세계 스타필드, 어떻게 사람 모았나
- 무신사, 겨울 아우터 충전재 논란에 중대 결단 내렸는데...싸늘한 소비자 반응
- 백종원 빽햄 가격 해명에도 계속되는 소비자 쓴소리...더본코리아 주주들 비명
- 막 오른 트럼프발 관세 전쟁...수입품목 가격인상 우려에 국내 대형마트 전략은
- CU·엔젤루카, GS25·무신사, 화장품 이어 옷까지...편의점이 변신한다
- 2전3기 CJ올리브영, 미국 시장 본격 진출 예고...트럼프발 관세 영향은
- 소비자 우롱한 백화점 입주 우롱차 업체 살충제 논란...일각에선 백화점 책임론도
- 창업 30년 바라보는 다이소, 가격 정책 불변 선언...1만원 화장품 출시는 루머
- 고물가에 쇼핑 트렌드로 떠오른 창고형 할인점, 코스트코 대항마로 이마트 트레이더스 뜬다
- 오리털 이어 짝퉁 영양제 논란...유통 플랫폼 관리 부실에 소비자 "빨리 대책 마련해라"
- 백종원 아픈 손가락 빽햄 판매중단?...추측 난무하자 더본코리아 “판매 재개” 예고
- 알리바바이어 BYD까지...中 기업과 잇따라 협업하는 신세계, 비판받는 이유는
- 뉴발란스, 2027년부터 직진출 예고...푸마 전철 밟을 수 있다는 우려도
-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 충격...대형마트 긴장감 고조
- 가짜 거위털에 칼 빼든 무신사, 전수 조사결과 나왔다...8.5%나 위반해 충격
- 무신사, IPO 초석 다지기?...중고 거래 시장도 본격적으로 뛰어들 준비
- ‘높은 나무에는 바람이 세다’...업계 1위 무신사, 1월 이어 또 전산오류로 소비자 원성
- 또 불거진 크림 진품·가품 논란...계열사 플랫폼과 진실공방에 악명높은 페널티 제도도 조명
- 이마트, 영업이익 240% 늘며 나홀로 독주체제 굳힐 기세...SSG닷컴 부진은 고민거리
- 절대 1강 쿠팡에 알리·테무도 힘든데 징동까지...국내 이커머스 업계, 상황 예의주시
- 이마트·쿠팡·배민 떨고 있나...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규제 강화 예고
- SK 최태원은 고소 취하, 신세계 정용진은?...악성 루머 유포 네티즌 고소 선언...실제 처벌로 이어질까
- GS25·무신사, CU·올리브영과 또 붙는다...의류 이어 화장품까지 협업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