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그부츠 이어 몽클레어 패딩도 가품 논란
불과 5년 사이 급격하게 성장해 유니콘 기업이 된 리셀 플랫폼 크림이 가품 논란에 휘말렸다. 크림은 얼마 전에도 가품 관련 이슈로 몸살을 앓은 만큼 소비자들 사이에서 불만이 터져나왔다.
20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크림의 검수 시스템이 의심된다는 글과 크림에서 구매한 옷이 정품 인증이 안된다는 제보가 잇따라 올라왔다. 먼저 검수 시스템을 의심하는 글 작성자는 크림에서 구매한 아크네 머플러가 진품이 아닌 것 같다고 주장했다.
![작성자가 올린 크림에서 구매한 아크네머플러 [사진=온라인커뮤니티]](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61182_376454_5517.png)
작성자는 근거로 택(태그)의 영문자 S의 끝이 뜯겨있고, 하단 모델명의 C 부분도 떨어져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원래 제품과 크림에서 구매한 제품을 비교하는 사진을 올렸다.
![작성자가 가품으로 의심하는 크림에서 구매한 아크네머플러 택 [사진=온라인커뮤니티]](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61182_376452_5346.png)
![작성자가 올린 정품 아크네머플러 택 [사진=온라인커뮤니티]](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61182_376453_5436.png)
한편, 다른 작성자는 크림에서 정품 몽클레어 패딩(300만원 상당)을 구매했는데 정작 몽클레어 홈페이지에 정품 인증을 하려고 하니 등록이 안 됐다고 하소연했다. 몽클레어는 가품이 많아 직접 홈페이지에 정품 인증 시스템을 만들어 운영한다.
![작성자가 크림에서 구매한 몽클레어 패딩 인증 불가 사진 [사진=온라인커뮤니티]](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61182_376456_560.png)
해당 글들을 본 커뮤니티 이용자들은 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정품인줄 믿고 이용하는 플랫폼에서 연달아 가품 논란이 일어난 데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해당 글 반응 [사진=온라인커뮤니티]](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2/361182_376457_5633.jpg)
크림은 이미 여러 번 가품 논란에 휘말렸다. 지난 2022년 미국 패션 브랜드 피어 오브 갓의 티셔츠 제품을 두고 무신사와 시비가 붙었다. 당시에는 무신사가 소비자에게 배상해 사실상 크림의 검수 시스템이 잘 지켜졌다고 평가받았다.
다만 최근 크림의 검수 시스템은 점차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이달 초 어그부츠 가품 논란이 도화선이다. 당시 또다시 무신사와 가품 논란으로 갈등을 빚은 크림은 결국 “어그 제품군에 한해 국내 공식 수입 유통사(신세계인터내셔날) 태그가 있는 경우만 검수한다”고 한발 물러났다.
한편, 크림에서 구매한 제품이 가품인 경우, 판매가의 3배를 보상하는 이용자 정책을 대외적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향후 대응이 주목받고 있다.
- [불황에 유통이 뜬다 ①] 이랜드리테일 팩토리아울렛, 불경기 속에서도 지방으로 확산중
- [불황에 유통이 뜬다 ⑤ ] 4년 만에 1200억원 매출...크림 성공 신화
- [불황에 유통이 뜬다 ⑥] 무신사 지난해 매출 1조원 육박...단 10일 동안 2040억원 판매
- 택갈이 논란에 입 연 의류 브랜드 인사일런스 "유사제품 인지 못했다"
- 고물가 시대에 의류 소비 대세로 떠오른 SPA 브랜드...약진하는 스파오, 비결은
- 승승장구하는 유니콘 무신사, 면접관 태도 논란 일파만파...무슨 일?
- 지하철역 이름까지 사들이며 힘 쏟은 CJ올리브영, 성수를 고집하는 이유는
- 유니콘 기업 무신사 계속되는 상품 논란...수요 많은 만큼 문제 제기도 잇따라
- 가품 논란에 체면 구겼던 무신사, 어그부츠로 크림에 한방 날렸다
- "세일기간 가격 올려 소비자 기만"...유튜버 주장에 올리브영 "가격은 브랜드사 소관"
- 전동킥보드 업체 스윙, 불법추차 철퇴 내린 서울시 일시 철수...시민들 반응은?
- 국가애도기간 불꽃놀이 현대해양레저 철퇴...비판 한편에는 "과하다" 반론도
- 무신사 새벽 쿠폰 소동...200만원 주려다 1000억원 날릴 뻔했다
- 스투시·어그부츠·패딩...계속되는 가품 논란에 소비자만 피곤...유통업계 대책 시급
- 스팸에 도전장 낸 더본코리아 백종원의 빽햄, 품질·경쟁력·가격 둘러싸고 논란
- 무신사, 겨울 아우터 충전재 논란에 중대 결단 내렸는데...싸늘한 소비자 반응
- 2전3기 CJ올리브영, 미국 시장 본격 진출 예고...트럼프발 관세 영향은
- 구미 에이바우트커피 음료에 플라스틱조각 섞여...반복되는 혼입사고 소비자는 불안하다
- 소비자 우롱한 백화점 입주 우롱차 업체 살충제 논란...일각에선 백화점 책임론도
- 창업 30년 바라보는 다이소, 가격 정책 불변 선언...1만원 화장품 출시는 루머
- 오리털 이어 짝퉁 영양제 논란...유통 플랫폼 관리 부실에 소비자 "빨리 대책 마련해라"
- 백종원 아픈 손가락 빽햄 판매중단?...추측 난무하자 더본코리아 “판매 재개” 예고
- 알리바바이어 BYD까지...中 기업과 잇따라 협업하는 신세계, 비판받는 이유는
- 뉴발란스, 2027년부터 직진출 예고...푸마 전철 밟을 수 있다는 우려도
- “SNS는 인생의 낭비”...퍼거슨 명언, 우리나라 기업 총수들은 어떨까
- 가짜 거위털에 칼 빼든 무신사, 전수 조사결과 나왔다...8.5%나 위반해 충격
- “윤석열 파면 감사” 인천 자담치킨 점주 전광판 논란...‘좌담치킨’ 비판도
- 무신사, IPO 초석 다지기?...중고 거래 시장도 본격적으로 뛰어들 준비
- ‘높은 나무에는 바람이 세다’...업계 1위 무신사, 1월 이어 또 전산오류로 소비자 원성
- 또 불거진 크림 진품·가품 논란...계열사 플랫폼과 진실공방에 악명높은 페널티 제도도 조명
- SK 최태원은 고소 취하, 신세계 정용진은?...악성 루머 유포 네티즌 고소 선언...실제 처벌로 이어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