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로 한국이 올해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중국이 내년에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것을 계기로 한국과 중국은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을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국가주석이 방문해 한중 정상회담을 열 것으로...[본문 중에서]
참고로 한국이 올해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중국이 내년에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것을 계기로 한국과 중국은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을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국가주석이 방문해 한중 정상회담을 열 것으로...[본문 중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경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참석이 가시화되는 모양새다.

미국과 중국의 두 정상이 다음 달 개최되는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지 많은 이의 관심사였다. 미국과 중국이 무역 협상 줄다리기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 주석이 직접 만나 협상 타결의 돌파구를 만들지 관심거리였던 것이다. 게다가 미국과 중국의 두 정상이 경주 APEC 정상회의를 방문한다면, 한국으로선 한미 정상회담뿐만 아니라 한중 정상회담을 가질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주목됐다.

이처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경주 APEC 정상회의 참여가 전망되면서 전 세계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우선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경주 APEC 정상회의 방문을 예측하는 단서는 조셉 윤 주한 미국 대사대리 발언에서 나왔다.

조셉 윤 대사대리는 17일 서울 중구 웨스턴조선 호텔에서 열린 ‘한미동맹 콘퍼런스’에 참여해 기조연설을 했다. 조셉 윤 대사대리는 이 연설에서 지난달 열린 한미 정상회담을 언급하며, 두 나라의 정상이 경주 APEC 정상회의에서 만날 거라고 발언했다. 공식적인 발표는 아니었지만, 주한 미국 대사대리의 발언이라 트럼프 대통령의 경주 APEC 정상회의 방문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는 듯싶다.

게다가 우리 측에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같은 날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신문방송편집인 간담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이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기대하고 있다는 발언을 했다. 한미 양국 모두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에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경주 APEC 정상회의 방문을 예견하는 단서는 조현 외교부 장관의 발언에서 나왔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17일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을 만났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왕이 외교부장과 회담 후 기자를 만나 시진핑 주석이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원칙적으로’ 참석하겠다는 의사가 확실하다 ‘느꼈다’라고 발언했다. 이에 따라 왕이 외교부장이 10월 중 방한하는 방안을 얘기했다고 말했다.

참고로 한국이 올해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중국이 내년에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것을 계기로 한국과 중국은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을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국가주석이 방문해 한중 정상회담을 열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중국 외교 수장이 다음 달 방한을 언급할 정도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경주 APEC 정상회의 방문은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에 따라 이번 경주 APEC 정상회의는 미중 정상회담뿐만 아니라 한미 정상회담과 한중 정상회담이 열리는 국제 외교 무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 정상은 다시 만나 관세 협상을 논의할 기회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정상회담에서 한국은 미국에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지만, 세부적인 사항은 타결하지 못한 채 협상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교착 상태에 빠진 관세 협상을 마무리하기 위해서 양국 정상이 어떤 현실적인 타협안을 논의할지 주목된다.

한편, 한미 정상은 이번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한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여러 차례 북한과 대화를 원한다고 발언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을 만나 한반도 평화를 비롯해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해 어떤 논의를 할지 주목되는 부분이다. 우리 쪽으로선 북미 정상회담이 재기되는 것을 계기로 북한과 관계 정상화를 타진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시진핑 중국 주석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자신의 왼쪽에 세워 중국과 북한의 친밀한 관계를 대외적으로 전시한 적이 있다. 그런데 중국은 당시 북중 정상회담 결과 발표문에서 북한의 비핵화 요구를 언급하지 않아 논란이 됐다. 사실상 중국이 북한의 핵무기를 용인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기 때문이다.

한반도 비핵화를 추구하는 우리로선 껄끄러운 대목이다. 앞서 조현 외교부 장관은 왕이 중국 외교부장을 만나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중국이 건설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만큼 북한 핵 문제는 이번 경주 APEC 정상회의에서 한미 정상회담과 한중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중요한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한미 정상회담과 함께 이번 경주 APEC 정상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첫 한중 정상회담이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한국과 중국은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이번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과 중국은 경제협력을 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발 관세전쟁으로 통상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은 중국과 협력으로 수출 다변화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만난 왕이 외교부장은 ‘글로벌 거버넌스 이니셔티브’를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중 경제 전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우리로선 한미 동맹을 축으로 중국과 관계를 어떻게 개선할지 궁금한 대목이다.

이처럼 올해 경주 APEC 정상회의는 한국이 외교역량을 발휘해 미국과 중국 사이 얽힌 난제를 풀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