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 7769만원 불과
한때 소비자 불매운동에 부닥쳤던 남양유업이 지난해 기존 오너 일가와 결별한 뒤 이미지 회복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그 성과가 1분기에 나왔지만 영업이익 증가폭이 미미해 갈 길이 멀다는 분석도 나왔다.
15일 남양유업에 따르면, 1분기 2156억 원의 매출액과 7769만 원의 영업이익을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적자에 허덕이던 남양유업이 3분기부터 3개 분기 연속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이번 실적은 경영 정상화를 위한 조직 전반의 체질 개선과 소비자 중심의 제품 전략이 맺은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핵심 사업 경쟁력과 품질 혁신을 강화하고 ESG를 포함한 지속 가능한 경영 체계를 통해 소비자 신뢰 회복과 안정적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남양유업 신규 로고 [사진=남양유업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5/379297_400273_481.jpg)
남양유업은 지난해 1월부터 새 경영진 체재를 갖추고 이미지 회복과 경영 정상화에 올인했다. 전임 홍원식 회장 체제에서 2013년 대리점 강매사건, 자사 제품 불가리스 코로나19 허위 광고 사태가 터져 회사 이미지가 타격을 입고 매출까지 하락했다. 소비자들은 불매운동을 벌였다.
결국 악화하는 여론과 매출 감소에 홍원식 전 회장은 회사를 내놓았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말 바꾸기 논란 등 여러 잡음이 나왔고 대법원 판결 끝에 사모펀드 한앤코가 새 주인이 됐다.
한앤코 체제에서 남양유업은 변화에 매진했다. 기업 이미지 회복과 소비자 우선 정책을 내세워 자정에 나섰다. 일례로 외식사업 효율화를 위해 대부분의 브랜드를 정리하고, 스타벅스와 우유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남양유업은 이 같은 조처 덕에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한편으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의견도 나왔다. 경쟁 업체 서울우유, 매일유업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우유는 협동조합이라 1분기 실적 공시를 별도로 하지 않지만, 업계 부동의 1위라는 사실에는 변함없다. 매일유업은 1분기 129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렸고, 매출 또한 남양유업의 두 배가 넘는 4588억 원을 기록했다.
한때 서울우유에 이어 2위였던 남양유업이 다시 제자리를 찾을지, 2분기에도 좋은 흐름을 이어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 CU 매장서 인기 크림빵 이물질 혼입 논란...업체 대응 또 도마 위로
- 신라면·바나나맛우유 해외판 용량 달라....내수차별 주장에 업체 반응은
- 대세로 떠오른 모디슈머, 오뚜기도 참전...참깨라면+컵누들 통할까
- 구설 없던 매일유업이 어쩌다...세척액 우유 혼입 사고로 이미지 타격
- K-디저트 해외 수출 활발한 삼립, 호빵·약과 이어 꿀떡도 통할까
- 뱀띠 마케팅은 어렵다? 유통업계 전통 깨는 스타벅스·공차·크리스피도넛
- 추억의 먹을거리 하나둘 사라지는데...삼양라면·가나초콜릿·바나나우유 오래가는 비결
- 불매운동까지 벌어졌던 남양유업, 경영진 교체 후 변했다...스타벅스와 공급 계약도
- 남양유업, 오너리스크 해소 이후 실적 개선 성공..."방심 이르다" 전망도
- 음료·주류에 우유·면까지 등 온 세상이 제로...건강에 도움 될까 우려도
- 유통업체 공급 중단까지 갔던 홈플러스, 사태 봉합된 줄 알았는데...불씨 남았나
- 스타벅스, 앞으로 별 50개 모으면 스벅 MD 상품 제공..."기존 별 체계 개편"
- 콧대 높던 스타벅스, 부쩍 할인 행사 많아졌네...저가 커피 약진에 위기감?
- "커피맛이 왜 이래"...소비자 불만에 플라스틱 빨대 회귀한 스타벅스, 두 마리 토끼 잡을까
- 천호역 일대 스벅 4개서 2개로...스타벅스코리아 "본사 고강도 구조조정과 연관 없다"
- “다양한 가능성 검토 중”...KFC도 투썸플레이스 품으로? 일각서 사모펀드 경계론도
- 이탈리아 명품 이미지 어디로...페레로 로쉐 중국 생산에 “페레로 셰셰 아니냐" 볼멘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