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다양한 가능성 검토 중”
커피 프랜차이즈 시장 경쟁이 날로 심화하는 가운데 업계 1위 스타벅스코리아(스타벅스)가 왕조 수성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내놓고 있다. 그간 고수해 왔던 스타벅스만의 전통마저 깰지 귀추가 주목된다.
최근 스타벅스는 개점 25주년을 기념해 내달 1일부터 구독 서비스 ‘버디 패스(Buddy Pass)’를 시범 운영하고 1300만 멤버십 회원에 특별한 혜택을 제공한다.
![스타벅스 구독 시스템 'Buddy Pass' [사진=스타벅스코리아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09/349273_359514_715.jpg)
버디패스는 매일 이용할 수 있는 제조 음료 30% 할인 쿠폰을 비롯해 푸드 30% 할인, 딜리버스 배달비 무료, 온라인스토어 배송비 무료 쿠폰으로 구성된 스타벅스 최초의 구독 서비스다. 30일간 구독료는 9900원이며,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약 3개월간 시범 운영하기로 했다.
스타벅스가 최근 외식업체가 적극 활용하는 키오스크와 진동벨 도입을 계획한다는 이야기도 업계에 돌고 있다. 그동안 스타벅스는 전 세계 모든 지점에서 주문자의 닉네임(정하지 않을 경우 영수증 번호)을 불러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 방식은 혼잡한 매장에서 주문자가 듣기 어려워 그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적잖았다.
![스타벅스 [사진=스타벅스코리아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09/349273_359527_5411.jpg)
만약 스타벅스 매장에 키오스크가 도입된다면, 그간 소비자들에 익숙한 풍경은 다시 볼 수 없을 전망이다. 키오스크 도입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견은 대체로 엇갈렸다. 찬성하는 한 소비자는 “키오스크가 간결하고 편하다”며 “닉네임 부르는 자체가 시끄러워 커피 마시는 데 방해가 된다”전했다.
도입에 반대하는 이용자는 “스타벅스는 기프티콘과 리워드(별) 혜택 등 키오스크를 이용하기에 부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키오스크 및 진동벨 도입과 관련해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 중”이라면서도 “현재까지 확정된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진동벨의 경우 복층 또는 특화 등 일부 매장에서는 현재 사용 중이다”고 덧붙였다.
- 위조품까지 기승 부리는 스타벅스 텀블러·머그잔, 고가에도 인기 비결은
- 디저트 카페로 시작했는데 커피 업계 2위...투썸플레이스 만의 비결은
- 커피 업계 1위 독주하는 스타벅스, 나홀로 가격 인상
- 3년 만에 반복된 스타벅스 트럭시위...익명 커뮤니티에 직원 폭로 올라와
- 커피업계 가격 인상 현실화...서민 음료 인스턴트 커피까지 들썩
- 코카콜라, 제로콜라 중량 5ml 줄여 논란..."문제 없다" 해명에도 소비자는 불만
- 비싼 커피 대신 인기 끄는 네스프레소 캡슐 커피..."가격 인상 잦아" 불만도
- 일부 우려에도...스타벅스 3분기 매출 7875억원 역대 최고
- 스타벅스코리아, 매장 수 글로벌 3위 넘본다...무서운 기세로 추격 중
- 스타벅스에 레고·다이소까지...성탄절 ‘어드벤트 캘린더’, 인기 한편에선 "너무 비싸" 논란도
- 스타벅스 구독 서비스 뚜렷한 성과 내며 정식 론칭...다른 업체 벤치마킹할까
- 커피는 못 끊겠고...오르는 원두 가격에 소비자 대응도 천태만상
- 40년 만에 바뀐 우체통, 네스프레소 캡슐커피 반송 가능..."불편할 듯" 우려도
- 뱀띠 마케팅은 어렵다? 유통업계 전통 깨는 스타벅스·공차·크리스피도넛
- 연말특수가 웬 말...유통업계, 제주항공 국가애도기간 이벤트·마케팅 줄취소
- 매장 손님보다 사이렌오더가 먼저?...방송인 타일러 영상에 스타벅스 반응은
- 불매운동까지 벌어졌던 남양유업, 경영진 교체 후 변했다...스타벅스와 공급 계약도
- 美 스타벅스, 주문 없이 매장 이용 못한다...소비자 민폐 늘자 바꾼 정책
- 커피 프렌차이즈 고성·행패 등 진상 손님 증가세..."마땅한 대책 없어"
- 알바 이어 점주도 막말...유명 저가커피 프렌차이즈 SNS 저격글 논란
- 일본 스타벅스 도심·공항 커피값 올린다...설마 강남·인천공항 스벅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