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저가 이미지 깨
중국 글로벌 스마트 디바이스 업체 샤오미가 국내에 핸드폰을 출시하고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섰다. 다만 170만원에 육박하는 고가로 소비자들 반응이 미적지근해 향후 성적에 관심이 모였다.
샤오미는 25일부터 샤오미 15 울트라(Xiaomi 15 Ultra) 스마트폰 및 샤오미 패드 7(Xiaomi Pad 7) 태블릿, 샤오미 워치 S4(Xiaomi Watch S4) 스마트 워치를 공식 출시했다. 세 가지 제품은 샤오미코리아 온라인 스토어와 쿠팡, 네이버 브랜드스토어 등 주요 온라인 채널에서 구매할 수 있다.
샤오미는 지난 2014년부터 한국에서 인지도를 높이기 시작했다. 보조배터리, 워치 등이 인기를 끌었다. 지난 2017년부터는 샤오미 스마트폰을 출시했고, 최근에는 전기차 사업에 뛰어들었다.
![샤오미 보조배터리 [사진=네이버 쇼핑몰]](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3/372616_391394_1843.jpg)
2017년 당시 샤오미는 70만~90만원대 제품을 출시해 상대적으로 비싼 갤럭시(삼성), 아이폰(애플), V(LG)와 승부했다. 애초 기술력이 떨어진다는 분석과 중국산이라는 인식으로 점유율이 낮았지만 2021년 4월 LG전자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철수하면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샤오미는 이미 해외에서 무서운 기세로 삼성전자와 애플의 점유율을 추격하고 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월간 마켓 펄스 서비스에 따르면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지난해 연간 스마트폰 출하량 점유율은 삼성전자(19%), 애플(18%)에 이어 샤오미(14%)가 3위를 차지했다.
다만 국내에서는 아직 힘을 못 쓰고 있다. 국내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80%, 애플이 19%로 끼어들 틈이 없다. 이러한 구도를 깨기 위해 샤오미는 올해 1월 샤오미코리아를 설립해 본격적인 공략을 예고했다.
샤오미 15 울트라의 경우 최신 기술이 접목됐고 고성능 카메라도 장착했다. 샤오미 관계자는 “이번 신제품은 사진 촬영에 높은 관심과 전문성을 가진 고관여 사용자층을 주 타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가격은 512GB 용량에 16GB 램 모델 기준 169만9000원으로 책정됐다.
![샤오미 15 울트라 [사진=샤오미코리아 제공]](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3/372616_391393_1617.png)
궁금하다는 소비자들의 의견 한편에서는 170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을 두고 불만도 나왔다. 한 소비자는 “가격이 무슨 갤럭시, 아이폰 버금간다”며 “저 금액이면 아무래도 검증된 갤럭시나 아이폰을 구매할 것 같다”고 밝혔다.
비슷한 사양의 갤럭시 S25 울트라의 국내 가격은 169만8400원이고, 가장 최근에 출시한 아이폰16의 경우 512GB 기준 170만원이다. 삼성과 애플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있다고 보긴 어렵다.
다만 샤오미 관계자는 “다른 국가의 출고가와 비교하면 국내에서는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책정됐다”며 “제품 성능을 고려했을 때 가격경쟁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편이다”고 설명했다.
실제 샤오미는 이 모델 출고가를 1499유로(약 238만원)로 공개했고, 일본 출고가도 국내보다 10만원가량 비싸다.
이 관계자는 “샤오미는 앞으로도 다양한 제품군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며 “한국 소비자들의 선택 폭을 넓혀갈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 갤럭시 버즈 해외 사용자 폭발 주장...삼성전자 “배터리 아닌 외부 손상이 원인”
- 물 건너온 스마트폰 케이스 케이스티파이 인기...비싸도 사는 이유는
- 음원 업계 전통의 1위 멜론, 경쟁 업체 맹추격에 1위 수성 가능할까
- 전직 갤럭시 광고 모델들의 잇따른 경쟁사 핸드폰 인증샷...상도의 논란까지
- 연내 합병 예고했던 티빙·웨이브, 주요 주주 KT가 고심하는 이유는
- 페이커, 전대미문의 롤드컵 5회 우승...SK그룹도 싱글벙글
- 하루도 못 버티고 내려간 갤럭시 광고 티저...소비자 반응 어땠기에?
- 티빙은 애플 넷플릭스는 네이버...OTT 공룡들의 이유 있는 콜라보
- 매장 손님보다 사이렌오더가 먼저?...방송인 타일러 영상에 스타벅스 반응은
- 최대 8% 싼 쿠팡 갤럭시 S25 사전 예약에 소비자 몰려...강제 취소에 일부는 불만 토로
- “SNS는 인생의 낭비”...퍼거슨 명언, 우리나라 기업 총수들은 어떨까
- 핸드폰·신발·공기청정기 쓰다가 반품...쿠팡 정책 악용한 빌런에 소비자 공분
- 24명 목숨 앗아간 산불 참사, 삼성·현대차가 손 내밀었다
- 샤오미, 해외에선 인기인데 국내에선 유통망 확보도 어렵다?...“지속적 협력 모색 중”
- 또 터진 직원 일탈, 기업은 한숨만...각양각색 사기 수법 충격적
- 국민 절반이 당했다...경쟁사 털릴 때 자만한 SKT, 거듭된 사과에도 여론 싸늘
- 2500만 가입자 유심 털렸는데...SKT, 신규 가입자 유심 우선 제공 주장에 소비자 부글부글
- 3시간 오류·유료화 검토...1700만명 이용자 삼성페이, 이대로 괜찮은가
- 200만원 육박하는 요즘 스마트폰, UI·디자인은 유감?...갤럭시·아이폰 이용자들 불만
- 국민 메신저 카톡, 정작 카카오는 업무용 메신저로 ‘슬랙’ 도입한 이유
- 오징어 게임보다 더 터졌다...삼성전자 갤럭시, 화제의 '케이팝 데몬 헌터즈'와 콜라보로 빛 볼까
- 2분기 어닝쇼크 삼성전자, 갤럭시 신제품에 사활...11번가·이마트·쿠팡 총동원령
- 트럼프 앞에선 오월동주...삼성·애플, 반도체 100% 관세 부과 예고에 협업
- 남혐 손가락 원천차단? 아이폰17 발표와 동시에 여초발 불매운동 터진 애플...삼성 사례까지 재조명
- 원빈까지 내세웠는데...통신사와 아이폰17 판매한 아정당, 계약서 수정 논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