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전 승리 팀 우승 확률 73.2%, 2차전 지면 우승 확률 0% 수렴, 역대 역전 스토리는?
![43년 한국시리즈 역사에서 플레이오프를 뚫고 올라온 하위 시드가 0-2를 뒤집고 우승한 경우는 단 한 번도 없다. 통계상 우승 확률은 0%에 수렴한다. 반대로 말하면, 한화가 2차전을 잡아 1-1을 만들기만 하면 7%의 선례가 살아난다. 1989년 해태, 2001년·2015년 두산 모두 2차전에서 최소한 균형을 만들어놓고 역전을...[본문 중에서]](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10/399894_429393_1110.jpg)
박해민의 방망이가 공을 가른 순간, 잠실은 LG 일색으로 물들었다. 3회 솔로 홈런. 이미 2점을 앞서가던 LG는 이 한 방으로 경기의 주도권을 완전히 가져갔다. 한화는 반격의 실마리조차 찾지 못했다. 최종 스코어 8-2. 7년 만에 돌아온 한국시리즈 무대는 한화에게 냉정했다.
선발 톨허스트는 6이닝 동안 안정적으로 마운드를 지켰고, LG 타선은 상·하위 가릴 것 없이 안타를 쏟아냈다. 한화는 불펜과 수비에서 작은 균열이 겹치며 무너졌다. 7년 연속 포스트시즌을 치른 LG와 7년 만에 돌아온 한화의 경험 차이가 첫 경기부터 드러났다.
이 승리로 LG는 단순히 1승 이상을 얻었다. 역사적 확률은 한화에게 더욱 암울한 전망을 말해주고 있다.
충격적인 숫자, 2차전 패배는 사실상 ‘우승 확률 0%’에 수렴...
문제는 2차전이다. 만약 한화가 2차전마저 내준다면, 한국시리즈는 사실상 끝난다.
한국시리즈에서 1차전을 이긴 팀의 우승 확률은 73.2%(41회 중 30회). 반대로 1차전을 진 팀의 우승 확률은 26.8%(41회 중 11회)다. 그런데 이 11번의 역전 우승 중 하위 시드(업셋 팀)가 해낸 건 단 3번(1989, 2001, 2015)뿐이다. 나머지 8번은 모두 정규시즌 1위 팀이 만든 역전이다. 한화의 업셋 우승 확률은 7.3%.

더 중요한 건 2차전이다. 1차전을 지고 우승한 11팀 중 2차전마저 진 팀(0-2 출발)은 단 2팀뿐이다. 2007년 SK와 2013년 삼성. 그런데 이 두 팀 모두 다음 시즌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던 전성기 시절 정규시즌 1위 팀이었다.
43년 한국시리즈 역사에서 플레이오프를 뚫고 올라온 하위 시드가 0-2를 뒤집고 우승한 경우는 단 한 번도 없다. 통계상 우승 확률은 0%에 수렴한다. 반대로 말하면, 한화가 2차전을 잡아 1-1을 만들기만 하면 7%의 선례가 살아난다. 1989년 해태, 2001년·2015년 두산 모두 2차전에서 최소한 균형을 만들어놓고 역전을 시작했다.
LG의 다 잡은 게임인가? 방심은 금물, 대전 3연전 기다리는 한화
여기서 흥미로운 변수가 등장한다. 바로 홈구장 효과다. 2025 정규시즌 상대 전적을 보면 양 팀의 홈/원정 차이가 극명하다. 시리즈 포맷은 2-3-2. 잠실 2경기를 치른 뒤 대전 3연전이 이어진다.

만약 한화가 2차전을 잡아 1-1로 만든다면? 시리즈는 갈피를 잡을 수 없다. 반대로 LG가 2-0으로 앞서간다면? 대전 3연전은 한화의 필사적인 추격전이 되지만, 이미 매치포인트를 쥔 LG 입장에서는 단 한 경기만 가져가면 된다.
역전 우승의 공식 - 에이스, 빅이닝, 결정적 한 장면
1차전 패배 후 우승한 팀들에는 공통점이 있다. 1989년 해태는 장타와 견고한 수비로 4연승을 쓸어 담았다. 2001년과 2015년 두산은 불펜을 조기 가동하며 실점을 최소화하고, 빅이닝으로 한 방에 뒤집었다. 특히 2015년 두산의 4연승은 단기전 불펜 운영의 교과서로 꼽힌다.
또 다른 키워드는 ‘결정적 한 장면’이다. 2017년 KIA는 2차전에서 양현종의 완봉승으로 분위기를 바꿨고, 2022년 SSG는 5차전 9회 김강민의 대타 끝내기 3점 홈런으로 시리즈를 뒤집었다. 단기전에서 에이스 한 판의 무게, 그리고 후반 대타 카드 하나가 얼마나 큰 파괴력을 갖는지 보여준 사례들이다.
류현진 카드, 그리고 한화의 승부수
많은 이들이 그토록 중요한 1차전에서 ‘왜 류현진을 쓰지 않았는지?’ 묻는다. 김경문 감독의 실책으로 보는 사람도 있지만, 푹 쉬어 체력이 좋은 데다 홈 구장 1차전을 한화가 무조건 승리하리라는 보장은 없다. 반대로 한번 체력을 뺀 LG를 상대로 2차전은 해볼 만하다고 봤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에이스를 ‘져서는 안 되는 경기’에 배치하는 게 합리적이다. 2차전을 잡아 1-1을 만들고, 한화가 강한 대전 3연전으로 이어간다는 큰 그림일 수도 있다.
2차전 한화의 전략은 네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최대한 버텨라. 류현진은 초반 1~2회 볼 배합을 보수적으로 가져가 장타를 차단하고, 수비는 번트·주루 상황을 미리 대비한다. 둘째, 불펜 조기 투입한다. 리드가 보이면 필승조를 아끼지 않는다. 2015 두산, 2013 삼성 모두 불펜 타이밍으로 승부를 가렸다. 셋째, 수비 실수는 최소화한다. 역전 우승 사례의 공통분모다. 작은 실책 하나가 빅이닝의 뇌관이 된다. 넷째, 후반 한 방 세팅이 필요하다. 7~9회용 대타·대주자 카드를 미리 설계해 두고, 찬스가 오는 순간 주저 없이 쓴다.
LG 입장에서는 2-0으로 앞서가지 못하면 방심할 수 없는 구간이 시작된다. 반대로 한화에 0-2는 곧 ‘끝’을 의미한다. 류현진과 선발 맞대결, 그리고 대전 3연전으로 이어질 드라마. 모든 것이 2차전에 달렸다.
- [뉴스워커_스포츠] 벌써 8골.. 호날두 보고 있나? 날아다니는 손흥민, 잘하면 메시도 뛰어넘겠는데?
- [뉴스워커_스포츠] 배구 ‘신인감독 김연경’ 첫 화부터 언어폭력 논란, 자극성 수위 도마 위에...
- [뉴스워커_스포츠] 브라질전 참패의 이유가 몸값 차이? 홍명보호, 파라과이보다 1.87배, 예상 스코어는?
- [뉴스워커_스포츠] 김판곤, 신태용, 동남아에 두 번 당한 울산 축구... 역대 최초 외국인 감독 가능성은 몇 프로?
- [뉴스워커_스포츠] 한화냐 삼성이냐, 승자에 따라 달라질 한국시리즈 기록들, ‘최초’의 영광은 누구 품에?
- [뉴스워커_스포츠] 울산 HD 이청용 골프 세레모니 논란 일파만파, 악성 댓글에 고소·고발까지 등장
- [뉴스워커_스포츠] ‘2년간 3억’ 플레이오프 매진 행렬에도 한숨... 암표와의 전쟁, 왜 매번 지는가
- 월드시리즈 씹어먹는 오타니 쇼헤이, 日 만화 '명탐정 코난' '메이저' 작가가 그림으로 표현하면?
- [뉴스워커_스포츠] 중국의 좌절, ‘또 한국이야?’ 배드민턴 안세영이 회상시킨 ‘新 공한증’과 ‘싸가지 세대론’
- ‘롤드컵 결승은 맨날 한국 팀끼리?’ 젠슨 황의 경고, 10년 뒤에도 한국이 최강일까
- 김혜성 ‘빚투’ 논란, 7년 vs 250만 달러 그리고 2번의 고소, 당신이 ‘김선생’이라면?
- [뉴스워커_스포츠] 올해 홈경기 매진 0회... 홍명보호, 가나전 이겨도 ‘유종의 미’ 없다?
- ‘메시는 다음에...’ 손흥민 멱살 캐리도 못 살린 LAFC, 밴쿠버가 악연 끊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