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 혼란에 고환율 겹쳐 서민 허리 휜다
새해가 되자마자 유통업계가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 식품에 화장품, 심지어 명품까지 가격을 올려 소비자들이 아우성을 치는 가운데, 정국 혼란으로 환율이 높아진 탓에 가격 상승은 당분간 계속되리라는 전망이 나왔다.
식품업계는 밀가루와 설탕, 코코아 등 주요 수입 원자잿값 상승과 물류비, 인건비 상승에 따라 가격을 잇달아 올리고 있다. 이미 지난해 12월 가격 인상을 예고한 오리온의 주요 제품들은 1일 자로 편의점에서도 인상된 가격으로 판매됐다.
국민 이온음료인 동아오츠카 포카리스웨트도 새해 가격이 올랐다. 포카리스웨트 캔(240ml)이 1600원에서 1700원으로, 포카리스웨트 페트병(1.5L)은 3800원에서 3900원으로 올랐다. 또한 동아오츠카의 탄산음료 데미소다도 1600원에서 1700원으로 100원 인상됐다.
![포카리스웨트 [사진=동아오츠카]](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1/362535_378198_5526.png)
아울러 외국인들이 한국 방문 시 꼭 사 간다는 바프 역시 가격을 인상했다. 바프 허니버터아몬드(40g)와 떡볶이맛아몬드, 불닭맛아몬드 등이 2200원에서 2500원으로 300원 올랐다.
![바프 제품군 [사진=바프]](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1/362535_378197_5344.png)
에이이브랜드코리아가 판권을 소유한 수입 맥주 코젤, 필스너우르켈 등도 가격이 4500원에서 4900원으로 올랐다. 이에 편의점에서 4캔 1만2000원이 아닌 1만3000원에 판매될 예정이다.
식품업계뿐만 아니라 K뷰티로 명성을 날리는 화장품 업계도 일제히 가격 인상을 알렸다. 아모레퍼시픽, 엘지생활건강, 에이블씨엔씨 등 유명 화장품 업체 자회사 브랜드들이 모두 500원에서 최대 2000원 인상했다.
연초마다 연례행사처럼 가격 인상을 해오던 명품업체들은 올해도 마찬가지다. 에르메스는 3일부터 의류, 가방 등 가격을 평균 10% 이상 올린다. 시계 브랜드 태그호이어 역시 일부 제품 가격을 최대 30% 인상한다.
소비자 원성이 터지자 업계는 대·내외 상황이 급변해 부득이하다고 항변했다. 한 관계자는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 환율 변동 등 수입 원부자재와 인건비, 제조 비용 상승으로 부득이하게 인상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 역시 “비상 정국으로 인해 환율이 급격하게 올랐다”고 설명했다.
수입 공산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도 높은 환율에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주로 후추, 소스, 화장품 등 수입 공산품을 취급하는 남대문시장에서도 물품 판매 금액이 천정부지로 뛰고 있다. 일례로 맥코믹 후추는 지난 11월 1만5000원 수준이었는데 최근에는 2만원 선까지 가격이 올랐다.
![맥코믹 후추 [사진=네이버마켓]](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501/362535_378196_5319.png)
- 업계 1위 스타벅스, 2년 6개월 만에 애매한 가격 조정...톨사이즈는 동결?
- 롯데웰푸드·오리온·해태제과 호황에 가격인하·할인 릴레이...소비자 반응 살펴보니
- 화이트하임 1/6 가격에 잘못 올린 쿠팡, 가격기재 오류에도 쿨하게 전량 배송
- 커피 업계 1위 독주하는 스타벅스, 나홀로 가격 인상
- 커피업계 가격 인상 현실화...서민 음료 인스턴트 커피까지 들썩
- 코카콜라, 제로콜라 중량 5ml 줄여 논란..."문제 없다" 해명에도 소비자는 불만
- 고물가에 물값도 오른다...농심 백산수 가격 인상, 다른 업체 영향은
- 카카오값 폭등에 과자 회사 전부 가격 올렸다...해태·오리온 12월 1일 자로 인상
- 커피는 못 끊겠고...오르는 원두 가격에 소비자 대응도 천태만상
- "세일기간 가격 올려 소비자 기만"...유튜버 주장에 올리브영 "가격은 브랜드사 소관"
- 뱀띠 마케팅은 어렵다? 유통업계 전통 깨는 스타벅스·공차·크리스피도넛
- 정해인으로 뜬 푸라닭치킨 불똥이 고윤정에...? 13개월간 3번이나 가격 올려 원성
- 흑백요리사 끝난 지 벌써 석 달인데...세븐일레븐의 한 박자 늦은 콜라보 눈길
- 아모레·LG생건·스와치 뱀띠 마케팅 뜨겁다...식음료·패션뷰티 뱀 마케팅 온도차 왜?
- 세븐일레븐·GS25·CU, 하이볼부터 와인볼·막스키까지 믹스주 전쟁...술은 섞어야 제맛?
- 레모나 하이볼 등 일부 하이볼 위스키 안 들었다...소비자 불만에도 합법이라고?
- 스타벅스 톨사이즈·오뚜기 컵밥 오른다...새해 유통업계 줄인상에 서민들 한숨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은 옛말...CU·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중심 굿즈 대세로
- 코코아값 폭등에 롯데웰푸드 가격 인상...밸런테인데이 앞둔 업체들 대응도 엇갈려
- 음료자판기 불황에 결국...업계 점유율 1위 롯데칠성음료 사업 완전 철수
- 버터맥주 다음은 하이볼? 박용인 버터맥주 허위광고 유죄판결에 업계 술렁
- 이번엔 뚜레쥬르...제빵업계 릴레이 가격인상, 동네 빵집까지 이어질까
- 한국·금호·넥센 타이어 3사 줄인상 예고...저가 타이어 꾸준히 주목
- 편의점들도 건기식 시장 진출 예고...다이소 맹비난한 약사들 반응은
- 노점상서 프랜차이즈 발전한 떡볶이, 위생은 퇴보...신전·신참 등 유명 업체 다수 적발
- 과즙 탄산음료 시장 다시 3파전 예고...롯데칠성음료, ‘탐스쥬시’ 상표 출원
- 1월엔 딸기잼·2월엔 컵밥·3월엔 라면? 오뚜기, 띄엄띄엄 인상하는 이유는?
- 꼭두새벽부터 날아든 트럼프발 관세부과 예고...미국산 수입맥주 영향은?
- "아사히 게 섰거라"...하이네켄코리아, 중국 설화맥주 들고 수입맥주 지각변동 노린다
- 일본은 아사히·중국은 칭다오, 한국은? 카스·테라는 소맥용...우물 안 개구리 신세 비판 여전

